박종용 화백의 민화예술-‘책거리도(冊架圖)’
책거리도 또는 책가도(冊架圖)는 책장과 서책을 중심으로 각종 문방구와 골동품, 화훼, 기물 등을 그린 그림이다. 18세기 후반 정조 재위 시에 궁중회화로 유행하여 19세기 이후 민화로 확산되었다. 중국 청대(淸代)의 다보각경도(多寶閣景圖) 또는 다보격경도(多寶格景圖)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색조의 조화가 아름다워서 민화 가운데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책가도의 유래 및 일반적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면 18세기 후반, 청나라 사신으로 간 부연사(赴燕使) 일행을 통하여 다보격경도풍의 그림들이 조선에 유입된 뒤, 조선의 책가도(冊架圖)가 출현했다.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민화로써 책에 대한 사랑과 독서 분위기 조성은 우리 민족이 세계 속의 한국으로 클 수 있는 면학의 기틀 만드는데 커다란 기여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글쓴이 : 장석용 원글보기
메모 :
'장샘 옆 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빅종용 화백의 백동자도, Korean Oil Painter Park Jong Yong`s <Hundreds of Kids> (0) | 2019.02.20 |
---|---|
서울오픈아트페어(SOAF) 2016 K-아티스타의 전시 풍경 (0) | 2016.05.23 |
제30회 현대사생회전 (0) | 2015.01.03 |
조현동의 32회 전시회, ‘하모니 관계’ 전주展 (0) | 2012.07.11 |
제11회 예맥회전 “화려한 외출” (0) | 201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