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의 함정
우리가 중요한 순간 어이없는 실수를 저지르고, 잘못된 것을 알면서도 끝까지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생각의 함정’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천재들도 뛰어넘지 못하는 생각의 함정의 실체를 파헤쳐봅니다.
우리는 때때로 생각의 함정에 빠진다 |
우리가 사고나 생각에 관한 책을 읽는 이유는 실제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다. 이에 관한 많은 책들은 단순히 심리적, 행태적 실험이나 세밀한 사례들의 열거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생각의 함정』의 자카리 쇼어는 밀실의 사고법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우리가 흔히 빠지기 쉬운 7가지 인지함정에 대해 다뤘다. 저자가 밝혔듯이 중대한 실책들을 열거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나 개인, 국가적인 차원에서 벌어지는 주관적 판단유형과 사고 전개의 과정, 문제 해결방식에 대해 살폈다. 이 책의 목표는 생각의 함정을 식별하는 것만이 아니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실패한 사람만이 아니라 성공한 이들을 대비시킨다. |
노출 불안의 함정 |
노출불안은 자신의 결점을 감추고 입지를 강화하려다가 오히려 입지를 약화시킨다. 1920년 미얀마의 대영제국 관리인 에릭 블레어는 우리에서 나온 코끼리를 죽일 생각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30여분 동안 잔인하게 코끼리를 죽였다. 그는 곧 후회했고 동료들은 유용한 코끼리가 죽였다고 했으며 주민들에게는 정신적 상처를 입혔다. 그는 단호하고 결단력이 있음을 보여주려 했고, 폭력으로 위치를 지키려 했지만 자신의 위치는 불안해졌다. 그는 귀국 후 경찰직 대신 작가를 선택했다. 그가 바로 소설 ‘1984’의 작가 조지오웰이었다. 2006년 7월 17일 이스라엘 신임수상 에후드 올메르트(Ehud Olmert)는 중요한 연설을 하고 그 연설대로 행동했다. 그는 “적들은 평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을 나약함의 신호로 받아들일 것입니다”라며 가혹 강경하게 대응해야 국가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과도한 무력사용은 무고한 인명을 앗아갔고, 결국 국제사회의 여론을 악화시켰다. 무엇보다 이스라엘의 입지는 강화가 아니라 약화되었다. |
원인 혼란의 함정 |
원인혼란은 특정 이론이나 관념에 빠져 원인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고 혼란에 빠지는 것이다. 어느 마을의 사람들이 집에 난 불에 타 죽은 돼지고기가 맛있음을 알게 되고 구운 돼지고기를 먹기 위해 집을 태운다. 핵심은 집에 불이 난 것이 아니고, 불에 구워진 돼지였다. |
반면 로마의 한 마을에 말라리아가 돌자 마을 사람들은 환자들이 모두 늪에 갔다 왔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늪을 없애버린다. 따라서 그들은 말라리아에서 해방되었다. 과학자들은 우울증이나 정신 분열증은 생물학적인 요인 때문이라고 하지만 근대 사회일수록 증세가 증가하는 점을 외면한다. 흔히 의사들은 디스크 기형이 허리통증의 원인이라지만 많은 경우 진정한 원인은 억압된 분노였다. |
평면적 사고의 함정 |
평면적인 인지 함정은 감정이입과 상상력의 부재로 이분법적 사고로 일어난다. 1951년 3월 이란의 모사데그와 마즐리스는 이란 석유 산업의 국유화를 결정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참모들은 이를 공산 이데올로기 때문으로 보았다. 미국은 에이잭스 작전으로 모사데그를 쫓아내고 모하메드 팔레비 정권을 내세웠다. 팔레비 정권은 야만적인 탄압정책으로 악명을 떨쳤다. 이란인들은 미국을 사탄의 제국으로 간주했고, 오히려 호메이니가 이끄는 이슬람 혁명으로 이어졌다. 모사데그가 국유화를 추진한 것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가난한 국민을 빈곤에서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베트남 전쟁에서 워싱턴 정책가들은 호치민을 공산주의자로 보았지만, 호치민은 베트남인의 복지가 우선이었고 이를 위해서라면 협상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은 공산주의 봉쇄 정책 차원에서 전쟁을 수행했다. 1950년대 영국이 말레이 테러리스트와의 싸움에서 이긴 것은 강압이 아니라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것을 파악했기 때문이었다. |
치명적인 만병통치주의 |
만병통치주의는 성공한 이론을 무차별적으로 모든 곳에 적용하려는 교조적인 믿음이다. 외관상 비슷한 요소들을 고정된 범주화의 카테고리에 가둔다. 이렇게 되면 자칫 대상의 특수한 요소들을 간과하게 된다. 제프리 삭스는 천재적인 경제학자로 평가되었고, 동구권에서 행한 경제처방은 큰 효과를 보았다. 그는 자신감에 차 다시 러시아에서 같은 방식을 적용했다. 하지만 러시아에서 결과는 혹독했다. 산업 민영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소수의 집단이 어마어마한 부를 갖고, 시민은 더욱 빈곤하게 되었으며 러시아의 발전은 후퇴했다. 제프리 삭스가 스스로 밝혔듯이 민영화에 대한 러시아의 문화적 요인을 간과했다. 멕시코에 취한 IMF의 조치들을 태국에 그대로 적용해 문제를 더 악화 시킨 것도 만병통치주의의 전형이었다. 만병통치주의는 인간이 복잡한 존재하는 사실을 망각하게 한다. 실생활에서는 불가능한 이상적인 전형만을 사고하기 때문에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다. |
정보 집착의 함정 |
정보 집착증은 정보독점과 정보기피증으로 나뉜다. 정보독점은 정보를 혼자만 갖고 있거나 최측근과만 공유해 단기적으로는 권력과 지위를 유지하지만 곧 그것을 상실하게 한다. 1930년대 일본 외무상 요스케 마츠오카는 정보통제가 자신의 성공과 국가정책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다. 처음에는 승승장구 팽창하던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하고 말았다. |
'글 읽는 장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책쟁이들 (0) | 2009.11.03 |
---|---|
천하를 얻은 글재주 (0) | 2009.10.28 |
운동화 신은 뇌 (0) | 2009.10.24 |
템포 템포 (0) | 2009.10.21 |
메이드 인 차이나의 진실 (0) | 2009.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