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영화의 수사학

장코폴로 2014. 2. 15. 13:10

영화의 수사학

 

1. 수사적 표현

영화를 평하고자 하는 관객은 각양 각색의 영화가 예술적 목적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영화수단으로 영화 속에서 늘 접할 수 있는 영화언어를 이해해야 한다. 또한 영화수사학을 살펴야 한다. 하지만 이 말은 지식체계를 논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오히려 어떻게 언어가 표현되는가 하는 원리와 정보와 자료의 범위를 넓혀주는 것이다. 영화예술이라 할 수 있는 범주에 속하는 새로운 걸작들은 영화예술의 수사적 표현을 풍부하게 하고 또한 영화수사법을 잘 활용한 것이다. 때때로 영화 속에는 새롭고 신성한 수사적 표현을 창조할 가능성을 부여하는 원천이다. 어쩄건 영화의 수사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다. 예술은 낡은 법칙을 탈피함으로써 탄생하다고 말할 수 있다.

영화의 수사는 다양하다. 단순한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으나, 영화예술은 배우, 야외 촬영지, 실내 스튜디오, 자연 음향, 대사 , 음악, 카메라 기구, 편집, 각색 또한 플롯과 화면, 도해 등 모든 요소의 수사적 표현이 반복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영화의 수사학에서는 네가지 소주제를 연기몽타아즈와 포커스프레임 분석트랙(대사, 효과, 음악 포함)네 가지로 나누고 논의하기로 한다. 이와같은 분할은 시퀀스 연구나 영화 접근법에도 필수 불가결한 기본 작업이다.

 

1). 연기

연기는 가장 손쉬운 것이며 필요 불가결하다는 전제하에 논의를 해본다. 영화는 오페라, 무용, 음악 등 모든 시간 예술을 훨씬 능가한다. 그 해답을 루돌프 아른하임의 평론 <<영화예술 속의 연기>>에서 영화란 적절히 변화를 보여주는 데 순간 순간마다 상이하게 보인다라는 말을 발견할 수 있다.

영화는 무대 구성 요건상 무대가 고정되어 있는 연극, 오페라, 모용과는 변화의 폭이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음악에서 보면 일상적인 양식에서 반복되는 주제는 경우에 따라 다양성을 둔화시킬 수도 있으나 영호예술은 변화와 다양성에 있어서 어떤 장르도 다를수 없는 것이다.

영화에 있어서 연기란 세 가지 요소로 크게 나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배우, 동물,식물, 교통수단 등등의 물체에 대한 연기 둘째, 카메라 이동에 따른 연기 효과 셋째는 연기의 구성을 훨씬 넘어서는 편집효과가 연기의 세가지 요쇼라고 할 수 있다. 영화상에서 연기력이 돋보이도록 하려면 촬영기법이 탁월해야 하며 배우가 자기 연마를 꾸준히 해서 디테일한 연기에 이르기까지 무단한 경험을 축적시켜야 할 것이다. 연기는 생활 주변에서도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지만 영화 소그이 연기란 동기가 부여되고 하모니를 생각해야하며 스크린에 투영될 자신의 모습을 배우는 생각해야 하는 것이고 영화비평가는 이런 배우의 연기를 읽을 수 있어야 한 것이다. 연기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연기는 영화에서 사건 전개를 알려주는 결정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차가 길을 따라 움직인다. 배우가 건물 안으로 들어간다는 식으로 속도감을 제시할 수도 있다. 속도감이 관객을 흥분하게 만들기도 하고 사건의 질도 규정짓는다. 자동차가 모퉁이를 들 때 차가 기울어 지는 것과 사람이 건물 안으로 뛰어 들어가는 것은 판단을 쉽게 내리도록 하기 위한 모델인 것처럼 연기가 기본 줄거리의 기초가 된다. 힛치콕의 영화를 본 적이 있는 관객들은 어느 화면에서 어느 순간에 배우가 계획적인 연기를 하고 감독의 영화상에서 수사법을 간과할 수 있다. 영화에서 동기 패턴을 비교하고 연구를 계속하다 보면 관객들은 수사학의 요점을 쉽게 알 수 이게 된다. 차가 카메라의 움직이을 살핀다는 것은 좀더 고찰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이동을 살피고자 하는 것은 영화를 평하고자 연기력을 살피는 또 하나의 방편읻. 카메라는 팬이다 틸로 등 여러 가지 기법으로 연기의 다양성을 뽀여 줄 수 이싸. 카메라는 하나 하나의 커트에서부터 커트없이 장시간 촬영, 미디엄과 클로즈업, 심지어는 극도의 클로즈업까지 다양한 가능성을 함축적으로 발견케하고 여러 가능성 중에서 몇 개가 엄격하게 감독의 구상에 따라 채택된다. 사실 포커스물 심화시키는 작업은 카메라 이동과 마찬가지로 정적인 능력이다. 무르나우, 힛치콕, 르노와르, 오손 웰즈, 구로자와 아끼라와 유현목 같은 감독들이 카메라 이동을 마스터했으며 다른 대상들도 충분히 연구했을 것이다. 카메라 이동은 주제설정과 다른 분야의 연구도 동시에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카메라 이동은 주제방법에 있어 모든 대상의 연결 수단이다. 예를 들어 르노와르의 대환상은 어떤 장소에서도 체포하는 사람과 붙잡힌사람, 죄수들 그리고 실권자들을 연결시킬수 있으며, 이러한 대조적인 그룹들은 형식적인 사고를 하게 하는 것보다 관객들이 영화와 공통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카메라 기법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에이젠쉬타인이 기병대의 식사 신을 생각해 보면 독일인과 프랑스인이 같이 식사를 하기 위하여 앉아 있는데 이런 사실은 야외 촬영이 유동적 활동의 모델이 되고 카메라 기법을 능란하게 보여준다.

최후의 미소의 야외 촬영은 비슷한 카메라 기법을 보여준다. 즉 호텔 로비의 승강기가 움직이면서 카메라가 내려우는 것은 주제를 고수하는 것이다. 마치 도어 맨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지는 위치에 서서 빠른 활동으로 가득찬 것 같았고, 도어맨은 우리가 보아온 환경과는 전혀 다른 특수한 상황을 보여 준다.

막스 오팔스의 카메라 테크닉은 좀 다른데 소녀와 병사에서 인서트는 사진을 이동시키는 작업으로 작품의 대부분을 구체화시키고 있다. 그는 카메라의 관찰방향을 직각에서 전방, 후방을 고려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을 구체화하고 도작 패턴을 강조한다. 이를테면 밀물과 썰물의 원리를 생각게끔하고 달리 생각할 수 있게도 한다. 기교적인 여러 종류의 케메라에다 다양한 현대성을 가미해서 제작된 렌즈와 줌 렌즈 또한 연기의 폭을 넓히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무비 카메라처럼 줌 렌즈는 간단한 조작으로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가깝게 보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줌 렌즈의 사용은 극적인 효과를 나타낼 때에만 사용된다. 줌 렌즈의 사용은 속도감이 있어서 효과는 충격적이며 매우 인상적이다. 한편 카메라의 좌우이동이나 경사각을 주는 것은 보통 느린 연기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이런 카메라 작동은 상하이동과 마찬가지로 불변적으로 느린 동작을 암시한다. 카메라가 무대장치 언저리에 나타나 관객의 눈에 무엇을 폭로할 때 굉장한 놀라움이 산출되기도 한다.

연기문제를 다루면서도 카메라의 움직임에 광범위하면서도 평이한 내용으로 일관됨은 다음 주제에서도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결국 카메라의 이동을 살피는 것이 비평가로서 연기를 살피는 기초이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편집만큼 영화의 가변성을 제시하는 요소도 없다. 편집의 성패 여부가 그 영화를 성공작으로 만드느냐 실패작으로 만드느냐 하는 판가름이 나기 때문이다. 편집은 영화를 템포감 있게 만들 수도 있고 연기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다. 연출상의 오류를 편집에서 정정할 수 있기 때문에 편집은 연기력을 논할 때 필수적이 될 수 밖에 없다.

 

2) 몽타아즈와 포커스

몽타아즈는 좁은 의미에서 수많은 화면을 표현주의적 방법으로 장면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킨 것이며, 대부분 깊은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가치와 더불어 시각적 리듬은 그 사진이 연결되는 동안 일어나는 사건의 종류를 짧게 제시해줌으로써 시간적 개념을 단축시켜 줄수 있다. 몽타아즈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에이젠쉬타이네 의해서였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몽타아즈 이론은 개별적인 단일 화면 구성보다는 전체적인 의미가 더 낫다는 방법으로 화면을 둘 혹은 그 이상으로 병령시키고자 하는 것이 원래의 의도이다. 잡지<<필름 센스>>에서 에이젠쉬타인은 유사한 장면이 연이어 겹쳐진 양분된 접합은 단히 한 장면을 추가했다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창조이다.’라고 했다.

몽타아즈 원리는 에이젠쉬타인에 의해 시작되었고, 그 당시 이후 많은 사람들이 많은 원리를 만들어넀다. 그러나 어떤 원리도 흡족한 것은 없었다. 그러므 여기서 하나의 고전적인 에이젠쉬타인의 예를 반복해서 들어본다. 그리고 임의적으로 몽타아즈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는 몇가지의 매우 분명한 이론을 말해 보고자 한다. 에이젠쉬타이의 예는 단지 쇼트 두 개이다. 한 장면은 무덤이고 다른 장면은 그 무덤 옆에서 장례복을 입은 어떤 여자가 우는 것이다. 이 영화는 여자, 무던과 장례복이 모든 것을 나타낸다.이 모든 것은 시각적으로 나타나나 표현할 수 없는 것은 그 여자가 과부라는 점과 무덤이 남편 것이냐 하는 것이다. 대화를 제외하고는 과부라는 사실을 나타낼 수 없다. 화면을 세 번 겹칠 수는 없는 이유 때문이다. 이와 유사한 게임의 법칙에서는 의미상 사냥의 절차는 대수적 중가를 하는 방법을 절정했다. 즉 처음 자작나무 숲에서 새가 날아가는 장면, 사냥꾼이 걷다가 총알은 새를 관통하고 새는 임박한 죽음을 앞두고 날아가 버렸거나 날아가려고 한다.

이제 두가지 예에 관계 잇는 운동원리를 생각해 보면, 여자와 무덤의 경우 상대적으로 긴 장면을 하나로 합칠 수 있으며,르노와르와 같이 사냥장면에서 짧은 장면들을 연결시킬 수도 있어서 공포스러운주제, 추적 그리고 죽으을 앞에 두고 빠르고 경이로운 템포감을 창작해낼 수 있으며, 만일 다양한내용을 담은 장면을 함축된 몽타아즈로 연결시키자면 속도감과 심리적인 묘사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 때 관객의 위치에 임박하는 정확한 체험을 유발시킨다. 말하자면 스릴을 지켜보는 관객이 되는 것이다.

동작이 크면 추리력이 많이 요구되는 과정을 실즈시켜 주는 특별한 종류의 몽타아즈를 크로스 커팅이라고 한다. 크로스 커팅은 또한 서로 비슷한 편집, 현상 또는 대위법에 있어서의 촬영을 뜻한다. 그러나 여기에선 혼동을 피해 크로스 커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런 종류의 몽타아즈에서 긴밀한 관계과 있으면서도 서로 가치가 상이한 두 개로 분리된 일련의 장면은 양자택일로 화면에 비춰져야 한다. 이러한 예는 행위의 한 과정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서구에서는 거의 의무적으로 이 방법이 이용된다. 크로스 커팅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치를 거의 인식하지 못한 채 진행된다. 그러므로 관객은 이 장치가 이야기체의 영화에 있어서 공간과 시가의 분석 가능성을 얼마나 잘 나타내는지 그리고 20세기 예술에 있어서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독창적인지를 잘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중추적인 것은 설득력 있는 영화의 몽타아즈이고 이 또한 하녜가 있다. 그리고 이 한계들은 우리가 포커스 또는 풀 쇼트 촬영에서 고유의 가능성에 접근하는 몽타아즈를 사용할 때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남아프리카의 한 젊은 부부, 아이와 사자와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화면에서 간략한 몽타쥬가 보여진 시점에 있어서 바쟁이 극적인 공간이라고 부르는 풀 쇼트를 볼 수 있다. 이 극적인 공간이란 암사자, 아이, 사자 새끼와 미친 듯한 부모의 장면이다. 몽타아즈와 포커스 형태 사이의 차이점은 명백하다 감독은 영화에서 독단적으로 몽타아즈와 포커스를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관점을 개개의 스타일이 개개의 한계와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몽타아즈가 아닌 깊이 있는 포커스는 무엇보다도 어떤 상황이 공간적 일치감이 이루어졌을 한도까지는 특히 인간과 사물의 관계에 근거한 코메디일 때는 영화적으로 존재 할 수 있다. 찰리 채플린은 바쟁의 공식을 실험해 보았따. 예를 들어 황금광 시대에서 채플린은 거대한 병아리, 이이소오 타는 집, , 폭풍, , 그리고 눈더미 등 그의 가치 기준에서 사물의 목록을 실상 끝이 없다. 실제로 얼치기 희극에서는 화면의 전체 구성상 포커스가 완전히 인식되어져야 한다.

게임의 법칙은 최종 결과로 보아 희극적인 장면에서는 놀랍게도 딥 포커스 표현에 안성맞춤이고 장 르노와르의 우아한 테크닉에 의해 잘 다듬어져 있다. 바쟁의 경우는 사자이야기에서 위험에 처한 아이를 작게 연속적으로 담은 화면과 부모의 걱정이 연속적으로 화면에 비춰지는 것이 전체영화내용을 결정짓는 처리이다. 그는 공간적 위치에 대한 관념으로 화면을 구성한다. 그는 공간의 등차성 여부를 잘 살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시점이 잘못 받아졌다는 논의에는 문제가 없다. 이러한 연속화면에서의 몽타아즈는 트릭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실 딜레마는 관객에게 영화 한 커트에서 극의 요소들을 보여주지 못하는 데에 있다. 아마도 그가 한것과 같은 장면의 본질이 행위에 있어서 또는 더 이상의 동시 존잿을 요구할 때 몽타아즈는 제외된다.

비평자는 바쟁의 분석을 공식화하는데 따를 자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동일한 영화 한커트에 잇어서 주인공의 존재나 바쟁이 영화구성요소라고 부르는 것은 영화감독에 의해서 선택되는 표현법이다. 이 선택은 바쟁이 공간적 일치에 대한 관념에서의 유래라고 하는 것으로 있는 최고의 가치를 가진다. 관객의 관점에 있어서의 극적 일치에 대한 관념의 연유는 매우 중요하다. 나생문에서 산적이 처음으로 사무라이와 백마를 탄 무사를 처를 보았을 때 그는 나무밑에서 잠들고 있을 때였다. 부부가 그를 지나갈 때 구로자와는 포커스로 심도 있게 화면을 구성했다. 즉 카메라로 그들 부부의 모습을 움직여야 했다. 이것을 영화 한 커드에서 산적을 잡기 위한 것이고 그들 부부가 물러 갈 때 부부를 카메라에 담기 위해 계속된다. 이런 화면 선택은 결점이 없다. 부분적으로 동일한 영화 한 커트 내에서 포커스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어것은 산적의 범죄 이야기를 통해 그 당시 만들어진 설화체적인 면을 강화시키고 실체화시켰다. 그의 필사적인 요구는 그녀 즉 사무라이의 아내를 갖는 것이다. 신에 있어서 종래와 크게 다른 것은 구로자와가 산적으로부터 부부에까지 일련의 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임의 법칙을 두 번째 예로 들 수 있는 이 방법은 에서의 이층 침실 밖의 복도가 롱 숏으로 묘사되고 있다. 축제에 초대되어 모인 손님들은 서로 훌륭한 예절과 시를 나누며 정력적으로 좋은 밤을 맞고 있었다. 하인들은 종종 걸음으로 다니며 손님들을 위해 각양각색의 임무를 다하고 있다. 그것은 상당히 높은 위치의 각도에서 잡은 것으로 관객 앞으로 다가와서 달아나버리는 화면 전체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손님과 하인의 늠름한 모습, 연인과 친구들, 역정난 노인과 의로운 젊은 여자는 참된 정경으로 묘사되고 있다.이러한 장면들은 한 신으로 제시함으로써 두 경우에 있어서 나생문의 화면과 지금 이 지면에서 논의있는 극적 일치감과 공간적 일치감이 병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법에 상응할 만한 더 좋은 예란 없다. 그러나 상영 그 자체, 영화 커트의 배열, 카메라 앵글의 선택, 원근기법과 디자인에 관한 문제들은 영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3). 프레임 분석

프레임 분석은 표현 예술을 다루는 지시긔 일부분이다. 프렘임의 도해는 영화 신을 다루는 모든 고안을 설명하는 문제를 다룬다. 상영과 구성, 선택된 카메라의 원근화법, 조명, 화면감각, 시각적, 구조적 리듬 등등이다. 프레임의 도해는 영향을 주는 감독의 첫째 선택은 원근화법이다. 어떤 시각적 관점에서 카메라가 실체를 볼 수 있을까? 기록영화에서 원근화법은 평법하고 사실적이다. 관객은 전반적으로 단순한 원근화법으로부터 꾸밈없는 실체를 관찰하고자 한다. 한편 시각의 실체적인 관점은 종종 가고의 이야기체 영화를 만든다. 그러나 어떤 시각적 관점도 완전하게 이 형식에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최근의 영화감독들은 대부분 시각적, 물질적, 실제적 관점을 혼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공영화는 실체적인 관점에 있어서 더 큰 모험을 가진다. 그리고 이런 목적을 위해서 실체적인 카메라라고 부르는 설득력 있는 요소가 제일 중요하다. 최후의 미소에서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실체적 카메라 주제는 두 개의 일련의 실체의 확대에 있어 배치에 대한 단순한 신 그 실체적(혹은 시각적)화면그자체는 실체라는 것이 관객에게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다. 로버트 몽고메리의 호수의 숙녀(1946)는 전체 화면을 실체적인 카메라로 잡은 유일한 예이다. 그러나 수많은 걸작들은 관객이 실체적 카메라라고 부르는 두 번째 기술의 양상을 이용한다. 이 두 번째 양상은 단일 주인공의 인생에 흥미를 느끼는 그의 관객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감독에 의해 사용되거나, 일련의 영화 특히 단일 주인공에 초점을 맞추고자 할 때면 언제든지 사용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전체 기술적 장치의 종합은 설득력 있는 실체적인 카메라를 만든다. 우선 실체를 확대하는 형식의 사용이다. 이러한 종류의 형식의 사용은 격마르 베르이만의 산딸기가 이 형식을 철저히 보여주고 있다. 실체적 카메라의 기술의 다른 장치는 무비 카메라를 익숙하게 사용하는 기술의 다른 장치는 무비 카메라를 익숙하게 사용하는 일이다. 실체적 운동신경지각이 묘사될수 있다. 프리츠 랑 감독의 최후의 미소에서 카메라는 어떤 거리를 두고 즉각적으로 앞뒤로 움직인다. 튜바를 연주하고 난 뒤 운동이 지치게 한 도어 맨의 지각을 반영하는 것을 확실할 때, 즉무비 카메라는 그가 튜바소리에 얼마나 익숙해 있는지를 묘사한다. 이 영화에서는 또한 운동지각신경을 묘사한 방주위를 보여준다. 좀더 단순한 신은 더욱 단순한 실체 상황일 수 있다. 그 예는 줄과 짐에서 볼수 있다. 즉 친구들이 조상을 찾기 위해 섬으로 갈 때 그들은 조각물로 장식된 정원에서 그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조상 주위를 돌아다니는 신은 그들의 감정을 묘사한 것이다.

전체 표현주의적 세트의 꿈과 환상은 표현주의적 수단으로써 묘사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산딸기에서 일련의 꿈과 그리고 미녀와 야수,황금광 시대에서의 환상적 순간에서와 같이 영상적 느낌의 압축감에서 사나운 바람의 형태로 나타난 자연물이 건물을 무너뜨리는 최후의 미소는 늙은 도어 맨의 표현할 수 없는 심리적 자각을 표현하기 위해서 환상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초점을 변화시키기 위한 갖가지 고안은 이런 종류의 장치에 속한다. 간단한 렌즈 조정은 초점을 부드럽게 해주지만 디퓨전 렌즈(흐린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최후의 미소에서 우리는 도어 맨의 변화된 지각의 심리적 의미를 포착하기 위해서 포커스가 많이 바뀌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게임의 법칙에서는미녀와 야수에서의 아름다움이 승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후작이 종종 자신의 자아 실현의 감각을 자신의 모습에 부여하기 위하여 디퓨전 렌즈를 통해 묘사한다. 특수 카메라 위치를 위한 각도 선택은 또한 실체적 카메라의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비록 이 말이 특수한 경향을 창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하더라도 지금 이 시점에서 관객들이 이야기체 영화에서 보는 대부분의 신을 위해서는 신이 자연스럽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성으 관객들에게 보여 주어야 한다. 비록 관객들이 소위 정상이라고 부르는 것, 또는 원근화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 할지라도 사실은 눈높이를 고려한 미세한 변화체로 만들어진 실체에 있는 것이다. 신에 있어서의 각도의 고저와 신은 자발적으로 되어야 한다. 영화를 배우는 진지한 관객들로 하여금 이 중요한 차이점이 식별될 수 있도록 눈이 훈련되어야 한다. 영화를 보는 눈은 무척 중요하다. 카메라 각도는 피사체의 규모와 사물과 사람의 크기 묘사를 결정한다. 낮은 각도의 신은 카메라 실체가 관객에게 흐릿하게 나온 것과 같은 원근화면의 뒤틀림을 유발시킨다. 반면 높은 각도의 신은 규모를 숙소하기 쉽다. 즉 축소는 이런 종류의 화면으로부터의 메시지가 된다. 몇가지 예를 들어보면 카메라의 중요성이 분명해질 것이다.청년과 하녀」ㅢ 일화에서 청년의 난마긔 형태가 거의 변화없이 높은 카메라 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형태는 약간 축소된 듯한 효과를 준다. 그럼으로써 여자의 성적인 위치에 대하여 과묵한 위치를 반영한다. 한편 최후의 미소에서 늙은 도어 맨이 영화 전반부에서 낮은 각도로 묘사되는 것은 그의 정신적 능력을 신장시키는 효과를 준다. 선택된 원근 화법의 중간치를 통해 비교적으로 강력해진 그를 볼수 있다. 게임의 법칙대환상에서는 사실 1930년대말의 로노와르의 많은 영화에서 조심스럽게 눈높이를 조절해서 그러한 거리에서도 관객으로 하여금 위협적인 사건을 매우 명확히 지켜 볼 수 있게 한다. 극장에 앉아서 희극과 비극을 볼 수 있게 한다. 만약 무비 카메라가 정적이 신에서와 같이 실체 카메라가 설득력이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면 특히 영화의 커트를 마비시켜 버리는 그러한 정적인 것이 되어 버리고 말 것이다. 줄과 짐에서 필름의 커트가 제 기능을 못한 많은 예가 있다. 동상의 화면, 갖가지 관점의 캐더린의 화면, 두사람이 처음으로 만났을떄, 그녀가 해안의 별장 베란다에 있을 떄의 주관적 관점을 가정해보자. 그들이 동상을 보았고 얼어붙은 캐더린은 양자가 그들의 정신적 생활이 결합되어진 것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명백히 나타난다.

실체적으로 카메라의 개념을 뒤로 하기 전에 실체적 방향에 반대가 되는 것에 의해 주관적 개념을 명확하게 하는 화면을 인용해 보면 프럼펫 소리에서 도미니크가 회사의 망년회에 갈 때 방 한 쪽 끝에서 카메라로 잡은 매우 긴 신을 통해서 그가 매우 긴 직사각형의 무도회장에 들어가는 것처럼 보인다. 마지막 수분 동안 모도장이 비어 있음으로 인한 실망, 걸어가기를 주저하고 어디 앉아야 할지 망설이는 그를 마음 아프게 묘사한다. 이런 묘사는 사실감이 있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 도미니크에 대한 것들이 사실감을 구성하여 공감대를 형성한다. 비록 주관적 신의 의미가 같다고 해도 음미는 전혀 다른 화면을 택하지 않고 주체적 카메라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세 번째로 그림으로 표현한 구조의 개척자들에게 주어진 몇가지 특수한 기법과 영화에 대해 살펴보면 안토니오니, 구로자와, 베로히만 등등이 있고 실제로 기술적 구도는 구조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구도 죽 다른 인공적인 예술가들고 마찬가지로 영화에서의 기술은 다른 모든 추측 가능한 모든 구조들을 간단히 정립시킬 수 있다. 세심하게 선택된 배경을 중심으로 배우가 서로 정면으로 연기를 정립하여 무대에 올려 놓음으로써 영화는 완벽해진다. 왜냐하면 영화 안에서는 대상이 상황에 따라 다변하기 때문이며, 어느 면에서 보면 강철의 구조와도 같이 때문이다. 강철은 몹시 민감하지만 영화는 오해의 우려가 없는 시각적인 힘을 부여한다. 더욱이 윤곽, 형태, 평면이나 질감은 영화 내에서 끊임없이 변하고 있으며 복잡하거나 흥미로운 시각적인 리듬, 구성이나 각색 등은 특히 그러하다. 왜냐하면 시각적인 리듬은 정지상태의 인공적인 예술의 겉모습이다. 그래서 생동감 있는 신을 강력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각적 리듬에 의해서 동작이나 반복보다는 더 큰 구성안에서 요소들의 반복을 통한 인상을 심어 주는 작업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구조 안에서 나타내지는 모든 종류의 움직임을 예를 들어 동작을 포함하는 사람이나 동물들 또는 차량들의 행렬 등은 가장 강력하게 시각적인 리듬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다.

7의 봉인에 대한 혹평은 가장 강렬하게 대두되고 있는데 반면에 다양성과 전형적인 생명력과 영화에서의 중요한 서정적인 영향력을 불어 넣어 주기도 했으며 미와 그 자체의 힘에 대한 감각을 부여하기도 했다.줄과 짐에서 해변의 나무가 울창한 도로를 따라서 서 있는 것은 또 다른 끊임없는 시각적인 리듬을 나타내는 것이다. 프리츠 랑의M에 마지막에 발생하는 시각적인 리듬은 관념상 다른 경우이다. 배심원과 범죄자간의 커다란 운집체와 패터 로레의 완전 고독 사이에 일어나는 전후, 관계의 구조적 리듬은 내용과 문장, 책과 그 외형적 형태 궁극적 힘과 무기력함이 개인성에 반발하여 엮어지는 사회성 사이에 의미심장한 대조를 보인다.

시각적 리듬이 상기한 효과들과 반드시 관계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더 조그만 규모로써 특별한 경우에 있어 분명하고 효과적인 것이다. 시각적 리듬은 번번히 관객들이 시각적 주제들이라 부를 대상의 활동성과 부류들의 양식이나 착상으로 들린다.모험에서 식별할 수 있는 편집과 구성은 관객들의 관심을 한 쌍의 여인들로 시각적 주제를 돌리게한다. 즉 검음 머리의 안나와 금발의 클라우디아가 재배치되는 주제 속에서는 극에서 필요로 한다면 클라우디아 머리 위에 얹혀진 검정 가발의 다순한 배치는 작품을 시각적 주제로 들리게 만드는 것이다.

게임의 법칙에서 로버트의 기계적인 음악 제작자들과 편집자들은 그의 삶과 모습을 실제적으로 강력한 상징을 부여하고 있어서 영화의 중심주제를 잠재적으로 내세우는 사람들은 영화에 시각적 리듬을 가미해서 시각적 주제들을 만들어 낸다. 탁월한 아름다움과 섬세한 기계적 구성에 버금가게 표현되는 로버트의 단편은 관객에게 그의 모든 특징을 드러나게 한다. 더욱이 대상과 사람들 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의 영화도 이러한 이미지를 창출해 낼 수 있다.M에서 순환적으로 사용하는 주제로 사용도는 시각적 리듬을 수단으로하고 아주 섬세하게 조정되어 있다. 이 영화에서 어린이는 겁이 많은 아이들로 묘사되고 있는데 손을 잡은 어린이들의 모임으로 시작되고부터 그곳에는 사회적 순환과 영화의 주제 사이에 위배되는 강력한 그 무엇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관객은 단 하나의 예외로 선택한 영화와 할당된 공간에서 그 대상이 너무 복잡하다고 하기에 흑백에 있어 모든 것이 한정되어 있고 천연색은 제외된다. 흑백영화에서는 빛과 외며넉인 느낌을 변화시킬 수 있고 연출자는 그런 성향을 추가하거나 감안할 수 있을 만큼 섬세하게 작품을 그릴 수 있다. 그러므로 1930년대 이후 수십년간 그러한 조절이 사용되었고 가능했었다. 빛은 조명의 비치는 힘 때문에 첫 번째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로 관객에게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물체와 사람들을 볼 수 있게끔 해준다. 물론 천연색영화는 식별할 수 있는 색의 조정에 의한 대상들의 구분에 있어 이러한 목적으로 더 좋은 매개체이다. 그리고 3차원의 세계를 표현하는 데도 훨씬 더 좋은 매개체이다. 그러나 흑백영화에 있어 빛의 능력은 이러한 것을 소화해내지 못한다. 예를 들면 빛의 렵은, 아주 적은 각도에서 피사체에 직접 조명한 주원인은 우리의 지각력을 매우 높이는 데 있다. 특별히 그 주체들은 조각품들과 석조 건물, 낡은 가죽들과 같이 흥미로운 표면 느낌에 의존한다.게임의 법칙에서 사용된 사려깊은 조명 기술물은 화려하게 장치된 성 내부의 풍부한 소품들의 배치에 있다.모험에서 피사체들의 조명이 사실적인데 반해대환상,7의봉인에서 촬영된 피사체들은 반대의 여감을 준다. 중세 스우덴의 천연 성들은 어두운 땅에서 우주적인 재앙의 개념을 지지하리 만큼 예리하게 나타나 있다. 그러나 회색 구도의 가치는 모든 영화 요소들이 시각적인 활력과 흥미로 어우러져 있다. 또한 회색 구도의 가치는 유용한 색의 조화를 형성한다. 아주 깊고 부드러운 흑색과 완전히 하얀색을 가진 높은 대조물을 포함한 장면은 극적인 상황에서 대조적인 포커스를 가지고 관객들에게 영감을 준다. 산딸기에서 이삭의 첫째 꿈은 높은 대조면으로 낮은 선명도로 표현되는 극적인 신이다. 이삭의 정신에 있어서의 확실성은 꿈의 분석을 우리 관객과 공감을 같이할 때 여기서 놀라운 극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 영화에서는 빛과 화면 감각이 가장 중요한 요소 즉, 빛조명은 일시적인 기분을 만들고 드라마와 주제를 보강한다. 트릭과 같은 엄청난 잠재력을 빛의 3원소는 갖고 있는 것이다. 장 꼭도의 미녀와 야수에서 빛은 눈에 띄는 두 세계와 현세의 집의 의미에서부터 야수는 궁전의 다양한 신비의 효과를 위한 대부분의 회화예술의 방식에서 사용된다. 후자의 것은 자연에 있고 날이면 날마다 밤이면 밤마다 계속 주장된 일관성의 영가을 조명에 있어서 아무것도 방해하지 못했다. 반면 야수의 궁전은 조명의 느낌이 하나의 대리석이다. 외장이나 또는 정원들은 낮과 밤의 모든 시간에 변함없이 미광에 이다. 내심은 항상 본질적으로 어두웠고, 외면적인 느낌은 촛불로부터의 빛의 깜빡임에 의해 나타내졌으며, 신비하게 대상물들에 활기를 불어 넣어 주었다. 이와가이 두 환경에 나타난 불균형은 빛의 단계에 있어 나타내진다. 르노와르의 대환상에서 색조는 약간 극적 경향이 나타나 있다. 실제로 완전한 영화는 회색조의 중간 부분의 단조로운 시각에 있다. 영화의 선택은 중심 주제에 따라 만들어진다. 즉 전쟁과 특별히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잡고 있는 것은 단지 실제적인 황량하고 비극적인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어둠, , 서치라이트로부터의 찌르는 듯한 광선들과 같이 대조물의 극적인 주제를 보고 조명이 화면에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를 알게 된다.트럼펫 소리에서 조명은 작품에서 대부분 기술적인 면을 차지하고 조명의 역할은 효율적인 빛으로 촬영가들에게 아직까지 유명하다. 점원들의 인상깊은 배경 그림 등의 전체 주요 부분은 부드럽고 조용하며 암픅의 표출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은 참가자들의 삶을 조명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이루어지고 그들의 황량한 미래의 불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빛-암흑의 매우 낮은 준위에 의해 지배된다. 관객은 이릭이 조명의 주요 기능이 사라므이 시선으로 물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을 언급했으며 프렘임의 분할을 특별히 제에 붙여진 커트가 하나 아니면 여러개인 것들의 대상물들의 적당한 선택에 의해 향상될 수 있었다. 계단 방향, 창문, , 문 방향 등, 마루들과 같은 내부구조, 건축가들의 설계, 집들과 같은 커다란 단위 등 실내 장치는 영화제작의 근본적인 요소이다.미녀와 야수,게임의 법칙에서는 특히 실내 장치가 그 작품의 효과를 한충 고양시켰다. 이와 마찬가지로 분장의 효과도 엄청난 것이다.

 

4). 트랙

트랙이라 함은 사운드와 음악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으로써 영화를 매력 있게 만드는 요소다. 트랙의 영향으로 어떤 상황을 극적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암시를 주기도 하고 장면전환에 있어서 자연스러움을 창출하기도 하며 영화의 내용 파악에 도움을 주기도 하기 때문에 이 트랙의 영향으로 관객이 감상한 영화가 깊이 인상지워지는 것이다 음악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졌으며 청각에 예민하게 반응해왔다. 물론 무성 영화 시대에 무슨 필름 자체내에 사운드와 음악이 있었겠는냐는 질문이 있겠지만 이 말은 영화관에서 영화 상영과 동시에 연주되는 피아노나 바이올린과 같은 악기를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이다. 영화를 전적으로 시각적인 측면에서만 고려한다면 청각적인 면은 분리될 수 없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분석적인 측면에 있어서 이해확대의 폭은 매우 다양하다. 사실 독일의 표현주의 계열의 숱한 흑백 영화를 살펴보면 사운드가 어떻게 영화를 구체화했는지를 알 수 있다. 사운드의 기초 수사학적 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무성영화에서 음성영화에로의 전환은 영호에 있어서 일대 혁명이라 할 수 있다. 음성영화의 등장은 영화에서 자연적인 구상의 힘들을 완전화하기 위해 일어났어야 할 사건은 아니다. 무성영화에서 사운드가 없었다고 해서 사실적인 투사를 위배했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아른하임의 지적대로 완전한 영감을 얻기위해 영화가 자연적인 감각을 완전히 취할 필요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운드는 실제성의 완전한 표시를 위해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무성영화에서는 사운드의 역할을 조명이 대신한다. 무성영화들은 관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의 인생을 주위 깊게 다룬다. 예를들면 황량한 미래의 불가능을 표현하는 조명은 아주 낮은 위치에 어둡게 비추어져 있다. 조명의 주요 기능은 사람의 시선으로 물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로 조명의 위치가 계단, 문틀, 마루와 같은 내부적 구조도 있을 수 있고 세트 디자이너가 장치한 고세 설치될 수도 있다. 조명이 대상물을 선택해서 영화를 질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듯이 똑같은 논리로 사운드와 음악의 역할도 바로 그러하다 어떤 형태의 예술이건 표현방법에 있어서의 결핍은 눈에 뜨일 수 밖에 없다. 무성 영화시대의 관객들은 영화를 보면서 처음으로 영화라는 장르의 탄생 자체만으로도 만족했었겠지만 차차 현실과 비교해서 결핍된 부분이 무엇인가를 꺠달을 수 있었을 것이다. 무성영화시대에도 음악이 전혀 없지는 않았다. 영화가 시작될 때, 진행중일 때와 끝날 때에 피아노 반주가 북이나 징 등의 악기로 규칙적으로 음악이 영화에 도입되었다. 음악은 리듬 매개체에 있어 고유적인 것으로 사람의 소리나 자연적인 소리들 대신에 영화의 극적 형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현대영화에 예술적으로 사용된 것은 음악이었다. 사람의 소리는 영화의 대상을 나타내는데 사용됐다. 어떤 언어에서 대화는 추상적인 대상들, 내적 감정상태와 실체들을 다루는 이야기식 영화를 가능케 한다.7의봉인과 같은 작품은 대화없이는 이해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기사의 내부 갈등을 대화라는 표현 방법없이는 표현 할 수 없다. 이 영화를 잘 알고 있는 관객들은 이 작품이 바로 그 경우라는 것을 보기 위해 작은 예배당에서의 고해에 있어 기사와 죽음 사이의 신을 보고자 할 것이다. 이 신의 내용 파악은 배울들이 일 움직임으로 동시에 일어나는 대화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이런 모든 가능성은 비동시성의 사운드 사용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줄과 짐에서 짐의 감정 상대들에 대한 사운드의 주석은 극의 대상 문제를 표현하는 대화 기능의 다른 예이고, 동일 시간의 시각적 물리들을 표현하거나 대조하는 것으로 영화의 시적 표현 효과같은 것을 만들 수 있다. 인위적인 사운드는 목적성을 중대시키고 대사의 진행을 도와주며 영화의 심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래서 인위적인 사운드는 극적 전개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게임의 법칙에서 로버트의 인형이 딸랑거리는 사운드 도구와산딸기에서 심장박동소리와 시간의 경과를 알려주는 시계의 똑딱 소리줄과 짐에서 일정하게 움직이는 흔들의자의불길하고 애매모호한 소리와 기적 소리모험에서 바람소리등 이 모든 것들은 영화제작에 있어 인위적인 사운드를 영화에 있어 인위적인 영화에 이용한 것이다.

음악의 경우 아직까지 후진성을 면치 못하는 영화에서는 단순하지만 상당한 수준에 접근해 있어 복잡 미묘하다. 으악은 배우의 육체 활동을 보충해 주는 에너지다. 음악은 심리 묘사를 가능케하고 감정적 음조를 지니고 있어 상이한 집단의 세계를 분리할 수 있다.

미녀와 야수에서 음악은 이 작품에서 야수의 신비성을 보여주지만 같은 영화에서도 음악이 없으면 보통 인간세계일 뿐이다. 음악은 관객에게 심리적인 힘을 가장 많이 제고한다. 음악은 신 하나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입, 전개, 갈등과 대단원으로 나누얼질 때 삽입될 수도 있다. 음악은 노래에서 가능한 많은 감정을 전달할 수도 있고 수사학적 면중에서도 그 가능서은 광범위하다. 관객들이 수사상의 제반 법칙들을 염두해 두고 영화를 감상하게되면 영화를 통해 영화비평능력이 배양될 것이다.

 

세계영화속의 한국 영화

 

1. 들어가는 말

1993년 말 현재 전세계 영화제 관련 행사는 1,000여 개에 이르며, 그 중 약 600여 개가 국제 영화제로 치러진다. 유럽 25개국 285, 북미 지역 2개국 254, 아시아 지역 12개국 41, 아프리카 5개국 6, 오세아니아 지역 2개국 12개 행사 등 이런 행사들은 케이블과 위성 관련 부문까지 헤아린다면 엄청난 숫자이다.

숱한 해외 영화제에서 한국 영화들도 점차 호응을 받고 있고 이런 영화제들이나 견본 시장에서 효율적,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간다면 우리나라에 대한 문화적 지위를 높이고 해외에서 영화가 이미 산업으로 인식되어 있는 현실에서 우리 영화를 상품으로 판매해서 외화를 벌어 들이는 일이 될 것이다. 이미 한국 영화가 남한 내에서만으로는 한계점에 달해 있다. 우리의 판로는 북한, 중국, 구 소련, 일본, 미주 등으로 개척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제 16회 낭뜨 제 3대륙 영화제(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제 3세계 국가의 영화를 유럽에 소개)에서 <장미빛 인생>에 출연한 최명길이 여우 주연상을 받는가 하면 이 영화를 연출한 김홍준 감독은 프랑프 영화 진흥 공사가 후원하는 1994년 조르주 사둘상 외국 영화 부문 공동 수상자가 되었다. <사무원>을 만든 미국의 케빈 스미스 감독도 공동 수상자이다. 1968년에 제정된 이 상은 그 해 만들어진 영화 중 신인 감독의 데뷔작 또는 제2의 작품만을 대상으로 한다. 아시아 감독으로는 1985년 일본의 오구리 고헤이 감독이 이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를 연출한 정지영 감독은 1994년 스페인 산 세바스찬 영화제에서 FIPRESCI(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받아서 한국 영화의 위상을 드높였다. 엄종선 감독의 <만무방>19941220일 폐막된 제9회 미국 마이애미 포트 로더데일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한국 영화의 국제 영화제에서의 수상은 영화제의 성격을 잘 숙지하고 설명회섭외 과정을 통해 진행이 매끄럽고 자막에 깔리는 언어감을 최대한으로 살딘다면 해외 영화제에서 수상은 어려울 것이 없다. 독창적이고 한국적인 소재가 우리 주변엔 너무나 많다. 독창적인 소재는 심사위원들의 관심을 끄는 첫 대상이 되는 것이다.

1989년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감독 배용균), 1992년 동경 영화제에서 <하얀 전쟁>(감독 정지영), 1994년 포트 로더데일 영화제에서 <만무방>(감독 엄종선),1994년 조르주 사둘상 시상식에서 <장미빛 인생>의 김홍준 감독의 외국영화 부문 수상과 1994년 산 세바스챤 영화제에서 FIPRESCI상을 수상한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는 해외 영화제에서 작품성으로 인정을 받은 것들이다. 195060년대에 이미 아시아권의 여러 나라들이 집중 조명되기 시작한 반면 한국은 보수적이고 권위적이었으며 군사 문화라고 일컬어지는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긴 겨울 자을 자고 있었다. 개방이라고 불러야 될 물결을 타고 해외 유학파들에 의해 조금씩 알려진 국제 영화제에 대한 정보는 한국 영화 시장의 개방으로 일반화된 정보가 되었고 해외 영화제와 해외 영화시장에 우리도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의 낭뜨 영화제측은 1986년 유럽에서는 처음으로 한국 영화 특별 주간을 개최해 김기영, 임권택, 배창호 감독 등의 영화를 소개했고 1989년 임권택 감독 주가을 열어 작품세계를 집중 조명한 바 있다. 특히 임권택 감독의 <태백산맥>199528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제 45회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 본선에 진출해 있다. 동 영화제 영포름 부문에 <장미빛 인생>과 여균동 감독의 <세상 밖으로>1편이 오르도록 확정되었으며 파노라마 부문에는 장선우 감독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가 초청되어 있다. 임권택 감독은 1981<만다라>에 이 영화제 본선에 진출한 이후 1986<길소뜸>에 이어 세 번째로 본선에 오른 것이다. 또한 장선우 감독은 <화엄경>으로 1994년 베를린 영화제에서 알프레드 바우어상, 1992년에는 <경마장 가는길>로 영 포름 부문에 선정되었고 <너에게 나를 보낸다>로 파노라마 부문에 초청됨으로써 베를린 영화제에 인연이 많은 감독이 되었다.

유럽에서 우리나라 영화에 대한관심은 점차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박광수 감독의 <그 섬에 가고 싶다>는 프랑스에서 개봉하자마자 언론의 극찬을 받고 있다. 199514, 15리베라시옹르 몽드는 이 작품을 싈과 함께 소개했다. 르 몽드박 감독은 역사의 비극과 마을의 연대기와 애정극을 독창적으로 융합시키는데 성공했다.”고 평했고, 리베라시옹은 박감독을 한국 누보 시네마의 선두 주자라고 소개하고 자기 나라 역사에 대한 신선하고 놀라운 은유라고 평가했다.

한국에서 흥행이 저조했던 작품들이 해외에서 각광을 받는 경우는 허다하다. 좋은 우리 영화를 사랑하고 우리 영화를 육성한다는 마음으로 우수한 한국 영화를 많이 관람해 주는 성숙한 문화 의식이 우리 관객들도 필요한 때이다. 공정한 포상 제도와 분명한 심사 기준이 해외 영화제에서 수상한 작가나 제작사에게는 커다란 힘이 될 것이다.

런던(영국 현대 예술 센터, ICA)에서 10211111일 기간중 열린 한국 영화 주간에서한국영화가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과 미국 등 세계에서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번 한국 5인 감독 영화제를 통해 유럽의 감독들에게 한국 영화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열어 주고 싶었다.”는 토니 레인즈의 인터뷰에서처럼 한국영화가 독창적이고 일관성 있는 아트 필름을 만든다면 국제 영화제에서 상복이 터지는 날도 멀지 않을 것이다. 박광수 감독의 <그 섬에 가고 싶다>가 김홍준 감독의 <장미빛 인생>과 더불어 제 16회 제3대륙 영화제 공식 경쟁 부문에 동시에 본선 친줄한 것만 보아도 한국 영화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위스시네 리브르 주관으로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3개국을 순회하는 독어권 한국 영화 주간등 유럽에서의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 표명은 그 어떤 외교로도 이루어 내지 못할 성과를 거두고 있다.

낭뜨 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수상한 <씨받이>의 강수연, <그들도 우리처럼>의 심혜진, <장미빛인생>에서의 최명길, <씨받이>로 베니스 영화제 최우수 여우상을 탄 강수연, <아제 아제 바라아제>로 모스크바 영화제 최우수 여우상을 수상한 강수연, <은마는 오지 않는다>로 몬트리올 영화제에서 최우수 여우상을 수상한 이혜숙, <아다다>로 몬트리올에서 최우수 여우상을 수상한 신혜수, 등 한국 여우들은 연기력을 국제적으로 인정 받은 바 있다. 이제 한국 영화들은 상품으로 충부한 자격을 갖고 있다. 상품은 포장과 디자인, 마케팅이 뛰어나야 한다. 영화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이 필요하다. 부분적으로 알려져 왔던 세계 영화제 관련 행사에 대한 정리는 우리 영화의 세계화에 기여하리라고 믿는다.

세계 영화제에서 아시아 영화들에 대한 수상 실적, 한국영화의 세계 속의 위치, 관련 영화제의 시기와 집행 시기, 주소, 전화, 팩스, 담당자 등의 소개, 영화제 성격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영화가 세계적인 상품이 되는데 작은 정보가 되고자 한다. 1995년 국제 영화제의 성격과 출품 자격 등의 정보는이미 다 알려져 있다. 정확한 정보와 자료 제공등이 영화 제작사나 감독들에게는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아시아 영화속의 한국 영화가 세계 속의 한국 영화가 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화만 열심히 만든다고 국제적 상품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화분업화된 과학적인 기획이 세계적인 상푸을 만드는 것이다.

섣부른 모방이나 국내에서의 흥행 추구만으로는 세계 영화 산업의 조류를 따라 갈 수 없다. 우리 영화가 대상으로 할 공간은 너무나 많다. 남한만의 영화가 아닌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 등 전세계를 커버하는 한국 영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2. 세계 영화제 속의 아시아 영화 수상작

 

베를린 영화제

1951: 개최 원년. 최고 영화 10편에 대한 대중 투표

1952: 최고 영화 10편중에 일본의 아끼라 구로자와의 <나쇼몽>이 뽑힘

1955: 최고 영화 10편중에 세끼가와 히데오의 <히로시마><일본>가 선정됨

1957: 대중에 의한 투표 지속 안됨

1958: 타다시 이마이 감독의 <순애보>로 최우수 감독상 수상, <Do Aankhen Barth Haath, 2개의 눈, 12개의 손>으로 인도의 브이 샨 타람은 은곰상 수상

1959: <숨겨진 요새>로 일본의 아끼라 구로자와는 최우수 감독상 수상

1963: 타다시 이마이 감독(일본)<부시도>가 금공상 수상

1964: 터키의 메킨 에르크산 감독의 <물 없는 여름>이 금공상 수상, <그녀와 그남자>의 사찌고 히다리(일본)<일본 곤충기, 쇼헤이 이마무라 감독 작품>의 수수무하니(일본)가 최우수 여우상 수상, <대도시>의 사타짓트 레이 감독이 최우수 감독상 수상

1965: 인도미국 합작으로 제임스 아이보리 감독의 <섹스피어집사>에 출연한 마드허 재프리(인도)가 최우수 여우상 수상, <캘거타>를 연출한 사타짓트 레이(인도)가 최우수 감독상 수상

1970: 영화제 개최 안됨

1973: 인도의 사타짓트 레이 감독이 연출한 <먼 청둥>이 금공상 수상

1974: 이란의 쇼랍 사히드 살레스 감독의 <조용한 삶>을 비롯한 6개의 작품에 은곰상 수상

1975: 케이 구마이 감독의 <산다칸 8번 방>에 출연한 기누오 다나까(일본)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76: 이란의 파르베즈 키미아비 감독의 <돌 정원>을 포함한 2편의 영화에 은곰상 수상

1980: 터키의 일마즈 귀니제키 옥텐 공동 연출의 <>이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1981: 인도의 므리날 센 감독의 <여성탐구>가 은곰상 수상, 일본의 세이준 스즈끼감독의 <지게 운에르바이젠>이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1983: 터키의 에르덴 키랄 감독의 <하카리에서 보낸 한철>이 은곰상 수상

1985: <눈표범의 향()>을 연출한 토로무쉬 오케이에프(소련)에 두드러진 예술 작품이라는 찬사와 함께 은곰상 수여

1986: <양의 미소>에 출연한 이스라엘의 턴셀 쿠리츠에게 최우수 남우상, <젊은 작곡가의 여행>을 연출한 게오르기 셴게라야(소련)가 최우수 연출상 수상. 대만의 허우 샤오시엔 감독의 <동년왕사>와 일본의 마사히로 시노다의 <곤자>가 특별상 수상

1987: 소련 지다니엘라감독의 <킨자자>에 특별상, 일본의 케이 쿠마이 감독의 <바다와 독약>에 심사위원 특별상

1988: 중국의 장예모 감독의 <옹고량>이 금곰상 수상

1989: 중국 유 진유 감독 <만종>이 은곰상, 이스라엘 엘리 코헨 가독으 <하카이쯔 쉘 아비야>가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깐느 영화제

1939: 9월 개최 예정이었으나 2차세계대던으로 인하여 취소됨

1946: 개최 원년, 인도 세탄 아난드 감독의 <보다 낮은 깊이>를 포함한 11편의 영화에 시상

1948: 개최 안함

1950: 개최 안함

1954: 일본 테이노수케 키누가사 감독의 <지옥문>이 대상 수상, 인도 비말 로이 감독의 <2에이커의 땅>을 포함한 9편의 영화에 특별상 수여

1956: 인도 사타짓트 레이 감독의 <길의 노래>에 특별상 수여

1959: 일본 테이노수께 키누가사 감독의 <백로>가 명예상

1960: 일본 곤 이시가와 감독의 <들불>에 특별상 수여

1963: 일본 마사키 고바야시 감독의 <하라키라>를 포함한 2편의 영화에 심사위원 특별상 수여

1964: 일본 히로시 테시가와라 감독의 <하루살이 여인>에 심사위원 특별상

1965: 일본 마사끼 고바야시 감독의 <계단>에 심사위원 특별상

1967: <3일과 아이>에 출연한 이스라엘의 오데트 코틀러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68: 개최 안함

1978: <욕망의 제국>을 연출한 일본의 나기사 오시마 감독에게 최우수 감독상 수여

1980: 일본의 아끼라 구로자와 감독의 <가게무샤>를 포함한 2편의 영화에 황금 종려상 수여

1982: 터키의 일마즈 귀니세리프 고렌 공동 연출의 <>을 포함한 2편에 황금 종려상 수여

1983: 일본 쇼헤이 이마무라 감독의 <유산절고>가 황금 종려상 수상, 인도의 므리날 센 감독의 <케이스는 닫혔음>이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음

1987: 소련 텐기즈 아부라제 감독의 <회개>가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소련 하니 조라쟈제 감독의 <나의 영국 할아버지>와 일본 렌따로 미쿠니 감독의 <순수에 이르는 길>에 특별상

1988: 인도의 미라 나이르 감독의<살람 봄베이>에 특별상 수여

1989: 일본 쇼헤이 이마무라 감독의 <흑우>에 특별상 수여

 

카를로비 바리 영화제

1946: 비경쟁 영화제로 개최

1948: 경쟁 영화제로 치러짐

1952: 소련 미하일 시아우렐리 감독의 <잊지 못할 1919>이 대상 수상

1953: 개최 안 함

1955: 개최 안 함

1957: 인도의 에스 미트라아미트 미트라 공동 연출의 <경계>가 대상 수상, 중국 상후 감독의 <새해 희생>이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1958: 일본 미요지 이아키 감독의 <이복형들>을 포함한 2편의 영화에 대상 수여, 메봅 칸 감독의 <어머니>(인도)에 출현한 나르기스(인도)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59: 개최 안됨, 이후 모스크바 영화제와 번갈아 2년마다 한번 개최됨

1960: 소련 지 다넬리아이 타란킨 공동 연출의 <세르요자>가 대상을 차지함

1962: 베트남의 부손트란 티엔 탄 공동 연출의 <두 병사>가 특별상 수상

1972: 므리날 감독의 <인터뷰>로 인도의 란지트 레이가 최우수 남우상 수상

1973: 베트남 부이 딘 학크 감독의 <어머니의 마을에 돌아와서>가 특별상 수상

1974: 일본 사쪼 야마모토 감독의 <사나이와 전쟁>이 특별상 수상, 베트남 트란 부감독의 <랑데뷰를 잊지 마세요>가 특별상 수상

1976: 인도 사타짓트 레이 감독의 <숲속의 낮과 밤>과 소련 키르기치아 출신의 보로트백 샴쉬에프 감독의 <흰 배>가 특별상 수상

1978: 베트남 하이 닌 감독의 <첫사랑>과 인도 미리날 센 감독의 <아웃 사이더>에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1984: <오렌지 색깔의 종>에 출연한 베트남 구엔 곡 트룽과 고번트 니하라니 감독의 <반쪽 진실>에 출연한 옴 푸리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86: 인도 라메쉬 살마가 발행하는 뉴델리 타임스, 중국 환진종 감독의 <착한 여인>, 북한장법임고학 공동 연출의 <해빙기>3개의 특별상 수여

1988: 중국 쉐진 감독의 <부용진>이 대상 차지

 

모스크바 영화제

1959: 격년제 행사로 개최 원년. <인민의 전령>에 출연한 몽고의 쯔브라에비인 쩨벨수렌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61: 일본 카네토 신도 감독의 <>을 포함한 2편이 대상 수상, 우마르 이스마일 감독의<자유 투사>에 출연한 중국의 유란이 최우수 여우상 수상

1963: 월맹 팜 키 남 감독의 <투 하이여사>에 특별상, 아자이 칼 감독의 <결혼 반지>에 출연한 수치트라 센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65: 레바즈 츠카이제 감독의 <병사의 아버지>에 출연한 소련의 에스 짜카리아제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71: 일본 카네토 신도 감독의 <오늘은 살고 내일은 죽고>를 포함한 3편이 대상 수상

1973: 레바즈 츠카이제 감독의 <묘목>에 출연한 소련의 로마즈 츠키크바제를 포함한 두사람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하이 닌 감독의 <17도선의 낮과 밤>에 출연한 배트남의 트라 기앙을 포함한 두 사람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75: 몽고 짜리안 분타 감독의 <일식의 해>에 심사위원 특별상, 인도 므리날 센감독의 <코러스>에 특별상, 베트남 하이 닌 감독의<하노이에서 온 어린 소녀>에 심사위원 특별상 수여

1977: 소련 게오르기 다넬리아 감독의 <미미노>를 포함한 3편의 영화에 대상 수여, 파르베즈 사이야드 감독의 <죽음의 끝>에 출연한 이란의 메리 아픽을 포함한 두사람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79: 인도 미리날 센 감독의 <도끼를 든 사나이>에 특별상 수여

1981: 코짜쿠리즈 나리예프 감독의 <야말의 나무>에 출연한 마야고제이 아이메도바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83: 일본 세지로 고야마 감독의 <고향촌>에 출연한 조시 가또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85: <소금>에 출연한 북한의 최인기를 비롯한 두 사람에게 초우수 여우상 수여

1987: 소련 아르매니아 공화국의 세르게이 파라이하노프의 <수람 요새의 전설>을 포함한 3편의 영화에 특별상 수여

1989: 임권택 감독의 <아제 아제 바라아제>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강수연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로카르노 영화제

1946: 설립

1954: 일본 테이노수케 키누가사 감독의 <지옥문>을 포함한 5편에 황금 표범상 수여

1956: 개최 안 됨

1958: <아큐정전>에 출연한 홍콩의 관산에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61: 일본 곤 이치가와 감독의 <들불>에 황금 표범상 수여

1964: 일본 미키오 나루세 가목의 <연정>에 출연한 히데코 타카미네에게 최우수 여우상

1970: 일본 아키오 지소지 감독의 <이 덧없는 삶>을 포함한 4편에 황금표범상

1972: 인도 파타비 라마 레디 감독의 <장례식>에 동표범상

1979: 터키 일마즈 귀니제키 옥텐 공동 연출의 <무리>에 황금 표범상

1981: 인도 라빈드라 달마다이 감독의 <바퀴>에 황금 표범상

1983: 이스라엘 다니엘 박스만 감독의 <함신>에 은표범상, 이란미국FRG 합작의 <미션>에 출연한 파르베즈 사이야드에게 최우수 남우상

1985: 중국 첸 카이거 감독의 <황토지>에 은표범상, 일본 미쑤오 야나기마찌 감독의 <불의 쩐>에 동표범상

1986: FRG의 테픽 바저 감독의 <40평방미터의 독일>에 은표범상

1987: 대만 에드워드 양 감독의테러리스트 에 은표범상

1988: 인도 쟈누 바루아 감독의 <대 재난>에 은표범상, 이란 나세르 타그바이 감독의 <선장 쿠르시드>에 동표범상, 냐뉴 비루아 감독의 <대 재난>에 출연한 인드라 바니아에게 최우수 여우상

1986: 대한민국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 황금표범상 수상, 인도 샤이 엔 카룬 감독의 <출생>에 은표범상, 이란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내 친구의 집은 어디에 있습니까?>에 동표범상, 프랑스FRG합작의 자이 시예 감독의 <중국, 나의 슬픔이여>가 심사위원 특별상

 

베니스 영화제

1932: 설립 원년, 공식 수상 없었음. 대중들에 의한 4편의 우수 영화선정 투표

1938: 일본 토마타카 타사카 감독의 <5인의 스카우트>가 특별상 수상

1940: 2차 대전 동안 영화제 중단됨, 영화제 명칭도 이태리독일 영화제로 변경됨

1942: 영화제 취소됨

1946: 영화제 부활. 소련 미하일 치아우렐리 감독의 <맹세>가 특별상 수상

1951: 일본 아끼라 구로자와의 <라쇼몽>이 황금사자상 수상

1952: 일본 겐지 미조구찌 감독의 <오하루의 삶>이 특별상 수상

1953: 황금 사자상 수상작 없음. 일본 겐지 미조구찌의 <우게쭈 이야기>를 포함한 6개 영화에 은사자상

1954: 일본의 아끼라 구로자와의 <7인의 사무라이>와 일본의 겐지 모조구찌 감독의 <집행관 산쇼>를 포함한 4편의 영화에 은사자상

1956: 일본 곤 이찌가와 감독의<버마의 하프>에 특별상 수여

1957: 인도 사타짓트 레이 감독의<정복되지 않는 자>에 황금사자상

1958: 일본 히로시 이나가끼 감독의 <인력거를 끄는 사나이>에 황금사자상 수여

1961: 일본 아끼라 구로자와 감독의 <요짐보>에 출연한 도시로 미우네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65: 일본 아끼라 구로자와 감독의 <붉은 수염>에 출연한 도시로 미후네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66: 소련 모스필름과 키르지찌아가 합작한 안드레이 미하일로프와 콘찰로프스키 공동 연출의 <맨 처음 선생님>에 출연한 나탈리 아린바스코로바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1969: 비경쟁으로 됨

1972: 영화제 이어지지 못함

1979: 영화제 시상없이 원상 복구

1980: 시상작 재상영

1984: 인도 고탐 고즈 감독의 <교차로>에 출연한 나세루딘 샤에게 최우수 남우상 수여

1987: 한국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에 톨연한 강수연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터키 오메 카불 감독의<조국의 호텔>에 특별상

1989년 대만의 허우 샤오시엔 감독의 <비정성시>에 황금사자상 수여

 

국제 영화 비평가상

1957: 베니스 영화제, 인도의 사타짓트 레이 감독의 <정복되지 않는자>

1959: 베를린 영화제, 일번의 아끼라 구로자와 <숨겨진 요새>

1962: 볼로도리드 영화제, 일본의 가네또 신도<>

1967: 베니스 영화제, 일본의 마사끼 고바야시 <요이, 어찌>

1972: 베니스 영화제, 인도의 사타짓트 레이의 <유한회사>와 쿠웨이트의 카레드시릭의 <잔인한 바다>에 국제 영화 비평가상

1974: 베를린 이란의 쇼랍 사이드 살레스 <조용한 생활>

1975: 베를린 영화제 영화제 부분에서 이란의 쇼랍 사이드 살레스의 <외국에서>,포름부문은 인도 므리날 센 감독의 <코러스>,모스크바 영화제에서는 일본소련 합작의 아끼라 구로자와 감독의 <데르수 우자라>

1976: 베를린 영화제, 포름 부문에서 인도의 니나 시브다사니 <츠하트라방>

1977: 베를린 영화제, 터키, 그의 전작품에 대한 공로상 포름 부문에서는 필리핀의 키드라트 타이믹 감독의<향내나는 악몽>

1978: 베를린 영화제, 포름 부문에서 이란의 다리우쉬 메리우이 감독의 <>

1981: 베를린 영화제, 일마지 귀니(터키)에게 그의 전작품에대한 공로로 공로상

1982: 베를린 영화제, 소련의 오타르 로세니아니 <전원곡>, 깐느 영화제, 터키의 일마지 귀니세리프 고렌 공동 연출의 <>

1983: 베를 린 영화제, 터키의 에르덴 키랄 감독의 <하카리에서 보낸 한철>/로카르노 영화제, 일본의 요시미쑤 모리타 감독의 <가족 게임>/만하임 영화제, 인도의 프레마 카란쓰 감독의 <파니야마>

1984: 베를 린영화제 일본의 신주케 오가와 감독의<일본 마을 후루야시끼>/카를로비 바리 영화제, 터키의 세리프 고렌 감독의 <구제>/베니스 영화제 비평 주간 선정 작품, 이스라엘의 우리 바르바쉬 감독의 <메초리 하소라김>

1985: 뉴델리 영화제, FIPRESCI상 제정, 인도의 아도르 고파라크리쉬난 <얼굴을 마주보고>/베를린 영화제의 영화제 부문은 일본의 마사키 고바야시 감독의 <도쿄 공판>/도쿄영화제는 FIPRESCI상 제정, 일본 아끼라 고루자와 감독의<>/로카르노 영화제 대만 에드워드 양감독의 <타이베이 이야기>

1986: 베를린 영화제 포름 부문 대만의 허우샤오시엔 <동년왕사>/카를로비 바리영화제 : 중국 황진종 감독의 <착한 여인>/로카르노 영화제 : 일보느이 고헤이 오구리 감독의 <가야고를 위하여>FRG의 테픽 바저 감도긔 <40평방미터의 독일>이 주목할 만한 영화로 선정됨/ 산세바스챤 영화제 : 일본, 요시게 요시다 감독이 <약속>

1987: 뉴델리 영화제, 중국 황진종 감독의 <착한 여인>, 인도의 지 아라빈단 감독의 <한 마을이 있었네>/발렌치아 영화제, 시리아 우사마 모하메드 감독의 <낮동안의 스타들>일 심사위원 특별상/베니스 영화제, 터키의 오메르 카불 감독의<모국의 호텔>/도쿄영화제, 대한민국의 이장호 감독<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1988: 카를로비 바리 영화제, 인도 아도르 고파라크리스난 감독의 <독백>

 

뉴델리 국제 영화제

1952: 비경쟁 영화제로 개최 원년

1961: 2회 영화제 개최

1965: 경쟁 영화제로 바뀜. 스리랑카의 레스터 제임스 페리스 감독의 <변화하는 마을>이 대상인 황금 공작상 수상, 타판 신하 감독의 <쓸쓸한 해변에서>에 출연한 샤밀라 타골, 루마 구하 타쿠타, 바르티 데비, 차야 데비, 레누카 로이(모두 인도 여배우)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여, 심사위원 특별상에는 일본의 젠조 마쑤야마 감독의<사는 것 외에는>, 주목할 만한 영화에는 스리랑카의 레스터 제임스 페리스 감독의 <마음의 침묵>

1975: 이후 델리에서 2년마다 경쟁 영화제로 개최됨, 번갈아 가며 타도시에서 비경쟁 영화제로 개최됨, 아미르 나데리 감독의 <맛선생>에 출연한 베루즈 유소그니(이란)에게 최우수 남우상, 인도의 기리쉬 카나드 감독의<>과 엠, 에스 사츄 감독의 <열품>에 특별상

1977: 일본, 타다시 이마이 감독의 <몬과 이노>에 황금공작상, <새를 사랑한 사나이>를 연출한 소련(우즈베키스탄)의 알리 카마라예프 감독에게 최우수 감독상, 오르한 악소이 감독의 <가족의 명예>에 출연한 에리스 아크만과 에이 자야티라카 감독의 <스피리파라와 라메니카>에 출연한 스리랑카의 마리니 폰세카에게 심사위원 특별상

1979년 기리쉬 카르나드 감독의 <옛날 옛적에>에 출연한 인도의 샨카르 나그에게 최우수 남우상, 인도의 무자파 알리 감독의 <출발>에 심사위원 특별상

1981: 인도 고빈드 니하라니 감도그이 <부상자들의 절규>를 포함한 2편에 황금공작상

1983: 최우수 작품상에 해당되는 황금공작상 없음, 인도의 우트파렌두 차크라보르티 감독의 <>에 심사위원 특별상

1985: <아파시오나타>를 연출한 일본의 사다오 나카지마에게 최우수 감독상

1987: 소련(우즈베키스탄)의 엘요 이스무카메도프 감독의 <안녕, 녹색 여름이여>에 황금공작상, 프라디프 크리쉔 감독의 <마세이 사헤브>에 출연한 인도의 라구비히르 야다프에게 최우수 남우상, 디 비 니할싱 감독의 <말데니예 시미온>에 출연한 스리랑카의 아노야 웨르싱예에게 최우수 여우상, 중국이야오 쇼우장 감독의 <부랑자>에 특별상

1989: 비경쟁 영화제로 바뀜

 

오스카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1929: 개최 원년

1948: 최우수 외국어 영화의 범주로 소개됨

1951: 일본, 아끼라 구로자와 감독의 <라쇼몽>

1954: 일본, 테이노수케 키누가사 감독의 <지옥문>

1955: 일본, 히로시 이나가끼 감독의 <사무라이>

1965: 일본, 마사끼 고바야시 감독의 <계단>

1975: 소 합작의 아끼라 구로자와 감독의<테르수 우자라>

1983: 인도미 합작의 리차드 아텐보로 감독의 <간디>,인도의 바누 아타이야가 최우수 의상상

1988: 중국이태리 합작의 르나르도 베르토루치 감독의 <마지막황제>의 작곡가인 류지 사카모토(일본)에게 최우수 작곡가상

 

3. 한국 영화의 해외 나들이

 

베를린 영화제(1961)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특별상 부문에 은곰상 수상

베를린 영화제(1962)에서 <이 생명 다하도록>에 출연한 전영선이 아동 특별 연기상 수상

샌프란시스코 영화제(1960)에서 <십대의 반항>에 출연한 안성기가 아동 특별 연기상 수상

1975: <이중섭>이 제 28회 깐느 영화제에 처녀 출품

197614회 파나마 영화제에서 최민희 여우 주연상 획득

1978: 3회 카이로 국제 영화제에서 <비련의 홍살문>에 출연한 정애란이 여우 특별 대상 수상

1981: 이두용의 <피막>이 제 43회 베니스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서 감독에게 주는 ISDAP상 수상

1982: 임권택의 <만다라>가 베를린 영화제 본선 진출

1983: 김수용의 <만추>에 출연한 김혜자가 제2회 마닐라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여우상 수상 이장호의 <바보선언>이 제19회 시카고 국제 영화제 본선 진출

1984: 이두용의 <물레야, 물레야>가 깐느 영화제 비경쟁 부문 서튼 리가드’11편중 하나로 선정됨, <물레야 물레야>가 제 20회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촬영상 수상(이성춘), 29회 아태 영화제(태국방콕)에서 <적도의 꽃>을 연출한 배창호 감독이 최우수 감독상 수상

1985: <땜장이 아내>(박철수 감독)가 제14회 노트르담 국제 영화제에서 베스트 텐에 선정됨,<땡볕>(하명중 감독)이 벨기에 국제 영화제본선 진출, <땡볕>이 벨기에 겐트 영화제에서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상 수상,<땡볕>이 제21회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촬영상(정광석)수상, 30회 아태 영화제에서(일본,도쿄)배창호의 <깊고 푸른밤>이 최우수 각본상과 최우수 작품상 수상, 정진우 감독의 <자녀목>이 제42회 베니스 영화제의 베니스 스페셜에 선정됨

1986: 임권택 감독의<길소뜸>이 제 36회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 본선 진출 및 제22회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 게츠 세계 평화 메달상수상

1987: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가 제4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경쟁 부문 본선진출, 이 작품에 출연한 강수연 최우수 여우상 수상, 이장호 감독의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난다>가 제2회 동경 영화제에서 FIPRESCI상 수상, 임권택 감독의<티켓>이 제23회 시카고 영화제 경쟁 부문 본선 진출, 32회 아태 영화제에서<씨받이>가 작품상감독상여우조연상, 배창호 감독의<기쁜 우리 젊은날>이 남우 주연상(안성기)수상

1988: 베를린 영화제 영시네마 부문에 출품한 이장호 감독의 <버보 선언>이 인터내셔널 포름 영시네마상, 이장호 감독의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가 칼리가리상 수상, 12회 몬트리올 영화제에서 임권택 감독의 <아다다>에 출연한 신혜수가 최우수 여우상 수상, 33회 아태 영화제(태국 푸케트)에서 김정옥 감독의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고>가 미술상, 변장호 감독의 <감자>가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1989: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금표범상 수상 및 제42회 깐느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영화부문에 선정됨, 임권택 감독의 <아제 아제 바라아제>에 출연한 강수연이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최우수 여우상 수상

1990: 박광수 감독의 <그들도 우리처럼>이 제 12회 프랑스 낭뜨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 대상 및 심혜진에게 최우수 여우상 수상

1991: 장길수 감독의 <은마는 오지 않는다>가 제 15회 몬트리올 국제 영화제에서 각본상(장길수)과 여우 주연상(이혜숙)수상, 싱가포르 영화제에서 박광수 감독은 <그들도 우리처럼>으로 최우수 아이아극 영화상 수상, 36회 아태 영화제(대만)에서 <나의 사랑 나의 신부>가 남우 주연상(박중훈), 편집상(김 현), 선우 완 감독의 <피아>로 선우 완과 홍성화가 각본상, 임권택 감독의 <개벽>의 도용우는 예술기획상을 수상, 대호 제7회 국제 어린이 영화제에서 하명중 감독의<혼자도는 바람개비>가 특별상 수상, 이두용감독의 <청송으로가는 길>이 제17회 모스크바 영화제 본선 진출, 정지영 감독의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가 제5회 동경 영화제 본선 진출

1992: 박종원 감독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몬트리올 영화제에서 제작자상, 정지영 감독의 <하얀전쟁>은 도쿄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 12회 하와이 영화제에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대상 수상

1993: 단편 영화<비명 도시>가 제1회 고베 영화제 본선 진출, 이명세 감독의 <첫사랑>이 이태리 지오반니 영화제 본선 진출, 윤삼육 감독의 <살어리랏다>에 출연한 이덕화 제 18회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최우수 남우 주연상 수상, 38회 아태 영화제에서 안성기가 남우 주연상, 최민식은 남우 조연상, <첫사랑>은 특별상 수상, 1회 상하이 국제 영화제에서 임권택감독의<서편제>가 감독상, 출연한 오정해가 여우 주연상을 수상, 46회 살레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백일성 감독의 < 한 줌의 시간 속에서>가 최우수 작품상 수상

1994: 정지영 감독의 <헐리우드키드의 생애>가 제42회 산 세바스챤 영화제에서 FIPRESCI상 수상, 여균동 감독의 <세상 밖으로>가 지오반니 국제 영화제에 본선 진출, 김홍준 감독의 <장미빛 인생>에 출연한 최명길이 여우 주연상 수상, <장미빛 인생>의 김홍준 감독은 프랑스 조르주 사둘상 수상, 엄종선 감독의<만무방>이 제 9회 미국 마이애미 포트 로드데일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 수상

 

4, 국제 영화제 종류와 개최 시기

 

(1995년도 영화 개최 기기 미정 부분은 1994년도 참고, 영문 알파벳 순서로 배열, TV부문 포함)/참고 : c(케이블 주소), t(텔렉스 번호), f(팩스번호),p(전화번호),Dir(담당자 번호), 편의상 국제 영화 제작 연맹(IFFPA)이 공식 인정한 영문 영화제 명칭을 소개함

 

주요 국제 영화제 및 영화TV견본 시장 개최 시기, 사무국 연락처

베를린 영화제 : 9421121

몬테 카를로 영화제 : 942418

미국 영화 견본 시장 : 9422434

라스베가스 영화제 : 95369

MIP/TV : 9441520

나토/쇼웨스트 : 943710

깐느 영화제 : 9451223

몬트리올 영화제 : 94825 95

베니스 영화제 : 949112

도쿄 영화제

MIPCOM : 94101014

미페드 : 94102328

MIP 아시아 : 94102328

 

1)주요 경쟁 영화제(단편)

캐나다 : 18회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1994.8.24 9.5)

중국 : 2회 상하이 국제 영화제(1995.10.28 1994.11.6)

독립국 연합(C.I.S): 19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19957월 중순)-카를로비 바리 영화제와 번갈아 개최

체코 : 29회 카를로비 바리 국제 영화제(1994.7.1 9)

이집트 : 17회 카이로 국제 영화제(1994.11.28 12.11)

프랑스 : 47회 깐느 국제 영화제(1994.5.12 23)

독일 : 4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1994.2.10 21)

이태리 : 5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1995.9.1 12)

일본 : 쿄토에서 열리는 7회 도쿄 국제 영화제(1994.9.24 10.2)<정도 1,200년을 기념하여>

스페인-42회 산 세바스챤 국제 영화제(1994.9.15 24)

 

2)장편 비경쟁 부문(단편 영화는 경쟁 부문)

호주 : 43회 멜버른 국제 영화제

호주 : 41회 시드니 영화제

오스트리아 : 비엔나 국제 영화제-비엔나레

벨기에 : 브뤠셀 국제 영화제

브라질 : 상 파울로 국제 영화제

캐나다 : 19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영국 : 암막 속의 쇼트들-수사물, 미스테리와 스릴러물 영화제

영국 : 38회 런던 영화제

독일 : 뭔헨 영화제

홍콩 : 홍콩 국제영화제

인도 : 25회 인도 국제 영화제(캘커타에서 개최)

이란 : 12회 파이잘 국제 영화제

아일랜드 : 더블린 영화제

슬로베니아 : 뉴블랴나 영화 예술제

미국 : 11회 마이애미 영화제

미국 : 8회 미국 영화원 국제 영화제

경쟁영화제(다큐멘터리와 단편 영화에 국한)

독립국 연합(C.I.S)-성 페터스부르크 국제 영화제,‘인간에게 띄우는 메시지’(슬로건)

핀란드 : 24회 국제 단편 영화제

프랑스 : 에네시 만화 영화제와 견본시

독일 : 40회 국제 단편 영화제

독일 : 라이프찌히 국제 영화제(다큐멘터리와 만화부문)

폴란드 : 33회 국제 단편 영화제(크라코프)

스페인 : 36회 빌바오 국제 다큐멘터리와 단편 영화제

스위스 :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특수 영화제(랭킹없는 경쟁 영화제)

벨기에 : 12회 국제 환타지SF영화제

벨기에 : 국제 어권 영화제

벨기에 : 플란다스 국제 영화제

불가리아 : 16회 국제 적십자건강 영화제

콜롬비아 : 카르타게나 국제 영화제

프랑스 : 제라르머 환타지 영화제

프랑스 : 꼬냐 국제 스릴러 영화제

프랑스 : 미국 영화를 위한 도비예 영화제

프랑스 : 라보예 유럽 영화제

프랑스 : 아네시 이태리 영화와의 만남

독일 : 20회 국제 아동 영화제

이태리 : 1994년 국제 시네마 주간

이태리 : 미스트페스트-국제 미스테리 영화제

이태리 : 타오르미나 영화제

이태리 : 리미니시네마 국제 영화제

이태리 : 프로렌스 프랑스 영화제

이태리 : 12회 튜린 국제 영시네마 영화제

포르투갈 : 포르토 국제 영화제

포르투갈 : 트로야 국제 영화제

러시아 : 소치 국제 영화제

러시아 : 카린그라드 영화제

싱가포르 : 싱가포르 국제 영화제

스페인 : 마드리드 국제 영화제(재조직, 날짜 미정)

스페인 : 시네마 호브

스페인 : 32회 기욘 국제 영화제

스페인 : 15회 지중해 시네마 발렌시아 견본시

스웨덴 : 스톡홀롬 영화제

스위스 : 14회 베베이 국제 코미디 영화제

스위스 : 47회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스위스 : 제네바 영화제

터키 : 13회 이스탄불 국제 영화제

기타 영화제들 (랭킹없는 경쟁 영화제)

미국 : 30회 시카고 국제 영화제

미국 : 28회 연례 세계 페스티발-휴스턴(국제 영화, 비디오 페스티발 및 영화 견본시)

미국 : 17회 덴버 국제 영화제

기타 특수 영화제(랭킹없는 경쟁 영화제)

호주 : 39회 아태영화제

오스트리아 : 10회 오스트리아 영화주간

오스트리아 : 국가 영화제

벨기에 : 불어권 영화제

벨기에 : 7회 이태리 시네마 비엔날레

브라질 : 원 미니트 월드 페스티발

불가리아 : 8회 국제 코미디 영화제

버키나 파 소 : 범아프리카 영화제, 페스파코

캐나다 : 국제 아트 필름 영화제

캐나다 : 16회 반프 TV

캐나다 : 94오타와 국제 만화 영화제

나다 : 벤쿠버 국제 영화제

캐나다 : 23회 몬트리올 국제 뉴시네마 비디오 영화제

캐나다 : 19회 반프 산악 영화제

카나리 군도(스페인영) : 12회 국제 카나리 군도 환경 영화제

중국 : 5회 상하이 국제 텔레비전 영화제

C.I.S : 마케트스카야, 1회 중동부 유럽 국제 TV견본시

C.I.S : 국제 영화 포름

크로아티아 : 11회 세계 자그레브 만화 영화제

쿠바 : 16회 국제 뉴 라틴 아메리카 영화제

덴마크 : 11회 오덴제 영화제

이집트 : 15회 국제 아동 영화제

영국 : 레인댄스 영화제

핀란드 : 에스포 시네 영화제

프랑스 : 16회 끌레몽 페란드 영화제

프랑스 : 중국 영화제

프랑스 : 시네마 드 릴

프랑스 : 국제 고전 음악 영화제

프랑스 :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프랑스 : 라로셰예 국제 영화제

프랑스 : 미 영화워크샵

프랑스 : 시네마 스쿨 페스티발

프랑스 : 11회 국제 여성 영화제

프랑스 : 몽트페이예 국제 지중해 영화제

프랑스 : 국제 상업용 영화제

독일 : 8회 슈투트가르트 국제 만화 영화제

독일 : 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독일 : 제니스 인터내셔날

독일 : 43회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

독일 : 국제 호프 필름 주간

독일 : 라이프찌히 국제 다큐멘터리 및 만화 영화제

독일 : 국제 필름 스쿨제

그리이스 : 3회 지중해 신 영화 작가제

헝가리 : 미디 웨이브94-국제비쥬얼 아트제

헝가리 : 12회 부다페스트 국제 스포츠 영화제

아이슬랜드 : 레이캬빅 영화제

인도 : 봄베이 다큐멘터리, 스포츠, 만화 영화제

아일랜드 : 39회 코르크 영화제

이스라엘 : 11회 예루살렘 영화제

이스라엘 : 10회 하이파 국제 영화제

이태리 : 14회 안테나 시네마-국제 시네마와 TV와의 만남, 코네그리아노

이태리 : 국제 작가 영화제

이태리 : 42회 국제 산악 탐험 경쟁 영화제

이태리 : 48회 국제 스포츠 영화제

이태리 : 페사로 영화제

이태리 : 12회 베르가모 영화 미팅

이태리-국제 자연 환경 영화제

이태리 : 지포니 아동 영화제

이태리 : 이태리 문화 활동상

이태리 : 오이로파 시네마‘94

이태리 : 16회 파레르모 스포츠 영화제

이태리 : 13회 포르데노네 무성 영화제

이태리 : 국제 관광 영화제

이태리 : 이태리 영화제-94 이태리 대종상

이태리 : 환경 영화제

이태리 : 35회 포폴이 국제 사회 다큐멘터리 영화제

이태리 : 플로렌스 영화제

이태리 : 5회 알페드리아 시네마

일본 : 유바리 국제 환타지 영화제

일본 : 2회 불란서 영화제-요코하마‘94

일본 : 5회 국제 만화 영화제-히로시마‘94

일본 : 작스 도쿄 국제 환타지 영화제(도쿄 시부야)

일본 : 가네보 국제 여성 영화 주간(도쿄 시바)

일본 : 야마가따 다큐멘터리 영화제

일본 : 21회 일본 국제 교육 프로그램 콘테스트

일본 : 2회 이스라엘 영화제

일본 : 4회 국제 학생 영화제

말타 : 33회 국제 아마추어 영화 비디오 황금기사상

모나코 : 34회 몬테카를로 국제 TV

네덜란드 : 네덜란드 영화주간

네덜란드 : 23회 로테르담 장단편영화제

네덜란드 : 국제 영화 TV아동 영화제(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폴란드 만화 영화제

네덜란드 : 6회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뉴질랜드 : 23회 웰링턴 영화제

노르웨이 : 22회 노르웨이 영화제

폴란드 : 16회 국제 과학 영화제

포르투갈 : 시나니마 94-18회 국제 만화 영화제

푸에르토 리코 : 푸에르토 리코 국제 영화제

스코틀랜드 : 48회 에딘버러 국제 영화제

슬로바키아 : 엑토필름-전문 영화 TV비디오 페스티발

슬로바키아 : 12회 다뉴브 국제 아동 청소년 텔레비전 페스티발

슬로베니아 : 국제 TV스포츠 페스티발

남아프리카 : 두르반 국제 영화제

스페인 : 6회 알파즈 델 피 영화제

스페인 : 국제 아마추어 영화제

스페인 : 발라도리드 국제 영화제

스페인 : 9회 국제 소방 비디오제-비디오푸에고 94

스웨덴 : 18회 고테보르크 영화제

스웨덴 : 2회 지역 비디오 TV물 올림피아드

스웨덴 : 13회 웁살라 국제 단편 영화제

스위스 : 프리보그 제3세계 영화제

스위스 : 몽트레 황금장미제

스위스 : 6회 전자 시네마제

스위스 : 벨리조나 아동 영화제

대만 : 1994 타이페이 금마장 국제 영화제

미국-24회 헤미스필름

미국 : 5회 팜 스프링스 국제 영화제

미국 : 선대스 영화제

미국 : 뉴욕 영화제, 37회 국제 영화TV페스티발

미국 : 9회 산타 바바라 국제 영화제

미국 : 26회 볼트모아 국제 영화제

미국 : 훔볼트 국제 영화제

미국 : 18회 클리블랜드 국제 영화제

미국 : 16회 국제 단편 영화 비디오 경쟁 영화제

미국 : 24회 미국 영화주간

미국 : 9D.C영화제

미국 : 17회 애트랜타 영화비디오 페스티발

미국 : 시애틀 국제 영화제

미국 : 플로리다 영화제

미국 : 27회 미국 국제 영화 비디오제

미국 : 해양 영화제

미국 : 필라델피아 국제 영화제

미국 : 텔루라이드 영화제

미국 : 국제 여성 영화제

미국 : 11회 미국에서의 이스라엘 영화제

미국 : 하트랜드 영화제

미국 : 미국 영상원 비디오 페스티발

미국 : 하와이 국제 영화제

동화견본시컨벤션회의수상작

호주 : 9회 호주 영화 제작 협의회

벨기에 : 시네마 엑스포 인터내셔날 1993

브라질 : 디스캅 라티나 94

중국 : 디스캅 차이나 94

잉글랜드 케이블위성94

잉글랜드 : 인터넷 월드95-회의 및 전시

잉글랜드 : IBC94-15회 국제 방송 컨벤션

프랑스 : 만화영화를 위한 포름

프랑스 : 32MIP/TV

프랑스 : 6회 서니 사이드 다큐멘터리

프랑스 : 10회 밉콤 국제 영화, TV,비디오 케이블 , 위성견본시

프랑스 : 이다테 국제 회의

독일 : 6회 노트라인-베스트파렌 매체 포름

독일 : 4회 미디어네트

독일 : 23회 포토키나 1994-월드 페어 이미지

독일 : 작업 그룹과의 만남

독일 : 6회 유럽 텔레비전 영화 포름

홍콩 : 멀티미디어 아시아 서미트 94

홍콩 : 샛콤아시아 서미트 94

홍콩 : 3회 아태 케이블 위성 텔레비전 서미트

홍콩 : 1MIP TV아시아 시사 및 회의

이태리 : 시코프 95-16회 국제 영화, 사진, 비디오 시청각광학 제품 및 사진 장비전

이태리 : 26회 국제 악기 전시회

이태리 : 미페드

이태리 : 8회 국제 오디오, 비디오, 방송, 텔레콤 쇼

일본 : 일본 아카데미상

일본 : 94영화 TV장비 전시회

일본 : 1994 T.I.F.F영화시장

일본 : 케이블 텔레비전

한국 : CATV 성루 94-서울 국제 CATV

리투아니아 : TV큅 이스트

말레이시아 : 디스캅 아시아 94

말레이시아 TV큅 아시아 94

모로코 : 디스캅 오리엔트 95

폴란드 : 디스캅 이스트

싱가포르 : 시네아시아

싱가포르 아시아 태평양 프로그램 시장

싱가포르 : 방송 아시아 94-3회 아태 영화 및 비디오 견본시 및 회의

싱가포르 : 1994범 아시아 TV산업회의

스위스 : 6회 전자 시네마 영화제

미국 : 51회 골든 글러브상

미국 : 32TV프로그램 집행위원회 회의

미국 : 22회 모비우스상

미국 : 136회 심테 기술 회의 및 세계 미디어 엑스포

미국 : 위성방송 및 커뮤니케이션

미국 : 나토 94 쇼웨스트

미국 : 14회 미국 영화 시장

미국 제 66회 아카데미상

미국 1994 방송 및 국제 엑스포 고화질 TV전시회

미국 : 2DRTV 회의

미국 : 비디오 제작자 엑스포

미국 : 케이블 94

미국 : 11회 쇼비엑스포

미국 : 1993 BPME 금메달 상

미국 : 소비자 전자쇼

미국 : 선댄스 제작자 회의

미국 : 46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미국 : 독립 장편 영화시장

미국 : 2회 국제 다큐멘터리 호의

미국 : 디스캅 라티나 94

미국 : 국제 에미상

미국 : 웨스턴 케이블 쇼

 

4. 국제 영화제 내용 및 성격

고베 독립 영화제(1)

개최시기 : 19936813

개최장소 : 일본 고베

설립목적 : 일본 및 전세계의 인디펜던트 영화를 진흥시키는 한편, 1896년 일본에 영화가 처음 소개된 고베 시의 영화적 자존심을 회복시키기 위함

참가규모 : 41개국 633(미국 241, 서부유럽 170편 등)본선 진출작은 20

심사위원 : 첸 카이커(위원장)5(일본인 2)

수상작 :

대상(상금 500만 엔)/<풀위에서의 작업>(시노하라 테쯔오/16밀리/컬러/42/1992),심사위어특별상(200만엔)/<단지후식일뿐>(모니카 페니잘리/호주/35밀리/컬러/14/1993)<편지(요코하마 겐지/16밀리/컬러/59/1992),키네토스코프(100만엔)/해당작 없음(일본영화작에게해당됨),젊은 감독상(100만엔, 30세 미만에 작가)/얼 슈미트(<Satyrn>)/미국/16밀리/컬러/25/1922),고베 시만상(100만엔)/<가사(Menage)>(프랑스/35미리/컬러/12/1992)

 

깐느 영화제(46)

개최시기 : 199351325

개최장소 : 프랑스 깐느

창설연도 : 1946(FIAPF공인)

참가대상 : 일반 극영화

집행위원장 : 페에르 비오

특징 : 세계에서 가장 화려하고 권위있는 영화제

프로그램 :

1) 공식 경쟁 부문 : 24(5편의 초청 시사회 포함)

2) 공식 경쟁 단편 영화 부문(10)

3) 15인의 감독 주간 : 깐느 영화제 집행위원회와 독립하여 행사 진행, 신인 감독 작품과 실험 영화, 비주류 영화에 치중(1969년 진보적인 영화인들이 주도하여 시작된 행사로 관심이 집중되는 행사중의 하나)

4) 비평가 주간

5) 주목할 만한 영화(비경쟁)

6) 카메라 도르 : 별도의 영화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아니고 경쟁 부문, 주목할 만한 영화, 15인의 감독 등에 초청받은 영화 가운데 신인 감독이 만든 작품만을 대상으로 뽑아 신인 감독상 수여

7) 프랑스 영화 회고전

8) 견본시 : 1960년부터 개설, 영화제와 별도의 조직과 운영, 영화제 이상의 규모와 관심을 받는곳

행사장 : 영화제 본부 건물(팔세스 드 페스티발), 경쟁 부문작 상영(본부 건물내 뤼미에르 극장/6개 국어 동시통역 시설을 갖춘 2,100석 규모의 극장), 견본시(본부 건물 지하1)

 

끌레르몽-페랑 단편 영화제

개최시기 : 199313026

개최장소 : 프랑스 끌레르몽 페랑

구분 : 경쟁

특징 : 세계 최고 수준의 단편 영화제

프로그램:

1)국제 경제 부문

2)특별 사영전 : 아프리카, 미국, 스페인, 싱가폴 영화, 학생영화, 어린이 영화, 음식에 관한영화 등

 

낭트 영화제(15) -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3대륙 영화제

개최시기 : 199311월 말 12월 초

개최장소 : 프랑스 낭트

구분 : 경쟁

특징 : 3세계 영화 소개에 치중

창설 : 1979(1873년 프랑스 작가 줄 베르느의 80일간의 세계 일주출판을 기리기 위해 그의 출생지이 낭트에서 개최)

집행위원장 : 알랭 잘라두, 필립 잘라두

참가규모 : 70여 편

특징 : 영화 상영 후 관객에게 설문지 배포 수거하여, ‘관객이 주는상수여

개막상영작 : <아직아냐>(구로자와 아키라)

프로그램:

1)경쟁부문

2)회고 상영 부문

3)파노라마 부문

4)비경쟁 초청작 상영

 

뉴욕 영화제(31)

개최시기 : 199310117

장소 : 링컨센터(주 상영관은 앨리스 틀리 극장)

참가대상 : 일반 극영화(다른 영화제 참가작 중 우수 작품 상영)

성격 : 비경쟁(FIAPF공인)

주관 : 링컨 필름 소사이어티

행사위원장 : 리챠드 페냐(링컨 센터 필름 소사이어티 프로그램 담당)

특징 : 미국에서 개최되는 국제 규모의 영화제 중 가장 비중 있는 행사

참가 규모 : 19개국 27작품

개막 상영작 :<Short Cuts>(로버트 알트만),(3가지색 -블루)

폐막 상영작 :<피아노>,<패왕별희>

특별프로그램

1)회고전:샤샤 기트리 회고전

2)오손 웰즈 미완성작 <It's All True>복원 상영

 

도쿄 국제 영화제(6)

개최시기 : 1993924103(매년 9월하순에서 10월초)

주최자 : 재단법인 동경 국제 영상 문화 진흥회, 동경 국제 영화제 조직위원회

프로그램:

1)국제 경쟁 부문

2)영시네마 부문

. 출품 자격 : 3편 이하의 상업 영화를 만든 경우는 35세 이하. 첫 영화는 나이 제한 없음

. 성격 : 영화제의 출범시 창설되어 도쿄 영화제의 한 특성으로 자리 잡음

3)특별 초대 작품

4)아시아 수작 영화 주간

5)일본영화의현재

6)영화견본시

7)공식 심포지움

8)협찬기획

 

런던 영화제

개최시기 : 11월경(2주간)

개최지 : 영국 런던

참가대상 : 최근 주요작

성격 : 비경쟁(FIAPF공인)

창설 : 1965

주관 : 영국 영화원-외형상 민간 단체이지만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공공기관, 하지만 운영은 자율적으로 이루어짐

특징 : 영국의 대표적 영화제 예술성과 작품성이 높은 작품이 주로 참가하였으나, 최근에는 영국 내에서 상영되지 않은 작품이라면 흥행서있는 영화도 포함시켜 작품을 선정하는 경향을 보임

장소 : National Film Theatre(일명 South Bank) 2개관과 런던 중심가 극장

진행 : 비영어권 영화는 영어 자막 처리, NFT극장에서는 동시통역 서비스 실시

 

로카르노 영화제(199346)

개최시기 : 1994(47)영화제는 84일에 시작

개최지 : 스위스 로카르노

참가대상 : 신인 감독 데뷔작 및 두 번째 영화

성격 : 경쟁 및 비경쟁(FIAPF 공인)

창설 : 1946

집행위원장 : 마르코 뮬러

심사위원단 : 8명으로 구성

제정규모 : 300만 달러

프로그램 :

1) 경쟁부문 : 미국영화는 경쟁에서 제외(22편 출품)

2)대광장 시사회 : 야외 시사회로, 영화제 기간 매일밤 930분부터 새벽2시까지 상영. 13편 상영 7,000석 규모

3)특별 상영전

4)영화에 대한 영화

5)스위스 영화93

6)샤샤 기트리 회고전

7)발레리오 주르리니 회고전

8)미래의 표범들(단편 영화 프로그램)

9)비평가 주간

마켓은 1984년부터 개설

진행 : 상영되는 영화들은 불어 자막에 영어, 프랑스어, 독어로 동시통역된다.

 

로테르담 영화제(23)

개최시기 : 19941월 말

개최지 : 네덜란드 로테르담

출품대상 : 극영화, 기록영화, 단편영화

성격 : 비경쟁

창설 : 1972(위베르발스)

집행위원장 : 에밀팔로우

특징 : 참여도, 작품수, 운영비 등의 면에서 유럽 지역에서 가장 큰 영화제 중의 하나, 영화제 운영에 관계하는 위베르 발스 재단은 개발도상국의 영화 제작 및 배급에 대해 지원하며, 미완성 단계에 있는 베네룩스 국가 작품의 판권을 사주기도 한다.

참가규모 : 200편 정도

프로그램 :

1)부대 상영 부문 : 지난 해의 국제적인 작품들을 소개

2)영화 장르와 감독들의 회고전

3)유럽의 TV네트워크에서 제작된 창의적인 작품 소개

4)영화 심의와 관련한영화의 있어서 자유의 한계

5)시네마트(마켓)

 

맬버른 독립 영화제(호주)

개최시기 : 6월 초순에서 중순

창설 : 1952(창설자 어윈 라도)

구분 : FIAPF 공인

프로그램 : 새로운 국제영화 부문

집행위원장 : Tait Brady

 

모스크바 영화제(18)

개최시기 : 19937112

구분 : 경쟁(FIAPF공인)

창설 : 1935년 소비에트 영화제가 전신, 1959년 흐루시초프에 의해 재창설, 홀수 연도에 개최되는 격년제 영화

출품대상 : 일반 극영화

집행위원장 : Yuri Khodjaev

특징 : 세계 4대 영화제로 꼽히나 나머지 3개에 비해 그 권위가 떨어짐 1980년대까지 구 소련 영화가 대상을 받는 것이 정례화되어 있었음

프로그램 :

1)공식 경쟁 부문(20편 선정)

2)아동 영화제

3)기록 영화제

4)파노라마 부문

행사장 : 로시아 호텔 센트랄 페스티발 홀, 견본시는 모스필름 내에서 개최

 

몬트리올 영화제(17)

개최시기 : 199382696

개최지 : 캐나다 몬트리올

성격 : 경쟁(FIAPF공인)

참가대상 : 일반 극영화 및 TV용 영화

창설 : 1977(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을 계기로 만듬)

특징 : FIAPF의 공인을 받은 북미의 유일한 공식 경쟁 영화제, 합작 영화와 컬트 계열의 영상 실험 작품들이 참가작들의 주류를 이룸

참가규모 : 세계 50개국의 200여 작품

집행위원장 : 세르게 로지크

심사위원 : 벤 킹슬리(위원장)7

개막 상영작 : <별득의 섹스>(폴 벨라젼/캐나다)

폐막상졍작 : <3가지색 -블루>

프로그램 :

1) 경쟁부문 :17개국 20작품 선정

2) 비경쟁부문 : 타영화제 수상작 및 호평받은 작품 소개

3) 라틴 아메리카 영화

4) 파노라마 캐나다

5) TV 영화

6) 스포트라이트 : 매년 한 나라 선정 집중 소개(1993년은 영국)

7) 오늘날의 영화, 내일의 영화 : 새롭고 전망 있는 감독 발굴 소개

8)공헌자

 

바르셀로나 영화제(스페인)

개최시기 : 7월 초순

창설 : 1957

구분 : 경쟁 영화제(FIAPE 공인)

집행위원장 : Joan Lorente

프로그램 : 일반 경쟁 부문(유럽 영화 중심)

 

벤쿠버 영화제(12)

개최시기 : 199310117

개최지 : 캐나다 벤쿠버

성격 : 비경쟁

조직위원장 : 알렌 프레디(행사운영 책임자 : 알리슨 베르미)

조직위원회 : 고정 인원 5, 작품 선정을 위한 프로그래머 6

참가규모 : 40개국 250

특징 : 전세계의 영화 다양하게 소개, 극영화, 기록영화, 실험 영화등

경비 : 8억원, 60여 개의 일반 기업과 6개의 정부 투자 기관에서 재정 후원

개막 상영작 :<광부>(영국)

프로그램 :

1) 용과 호랑이 : 동아시아 영화(서구에 소개된 적이 없는 작품)

2) 캐나디안 이미지

3) 영국 영화 걸작선

4) 우리 시대의 영화 : 25개국의 새로운 영화 소개

5) 운명의 어린이들 : 1993년의 논픽션 영화

6) 그림마티니

7) Walk on Wild Side : 주제 : ‘극단적인 연인들과 비범한 영화전위적 작품 소개

 

베니스 영화제(50)

개최시기 : 1993831911

개최지 : 이탈리아 베니스

참가대상 : 일반 극영화, 타영화제 출품작 제외, 해당 국가 내 상영작은 가능

성격 : 경쟁(FIAPF 공인)

창설연도 : 1932(베니스 비엔날레에 영화 부문을 포함시켜 개최. 1934년부터 연례 영화제로 개최)

특징 : 가장 오래된 영화제, 깐느, 베를린과 함께 세계3대 영화제로 불림, 미지의 영화를 발굴하려는 의도로 알려지지 않은 걸작들을 소개 견본시 행사 없음

집행위원장 : 질로 폰테코르보

프로그램 :

1)경쟁 : 12개국 총 23(특별 상영작 5편 포함)

2)베니스의 밤

3)이태이 파노라마

4내일의 영화 작가들 : 단평 영화 소개

5)현정 시사회

6)특별 상영전

7)1943년 회고전

8)국제 영화작가 심포지움-주제:영화작가의 권리, 표현의 자유, 각 나라 영화예술의 옹호

 

베를린 영화제(44)

개최시기 : 199421021

개최지 : 독일 베를린

참가대상 : 일반 극영화

성격 : 경쟁(FIAPF 공인)

창설 : 1951

주관 : 베를리 축제 유한회사

운영위원장 : 모리츠 데 하델른

특징 : 동구권 영화들을 다수 초청해서 서방 세계에서는 대하기 힘든 사회주의권 영화의 소개와 교류의 장이 됨. 주로 정치 사회적 주제를 다룬 영화를 소개함. 통독 이후 동서독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축제와 구 동독 지역 영화 산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춤

출품규모 : 650

경비 : 40억원(총 예산 중 50퍼센트는 연방 정부 보조, 나머지는 주정부 보조금과 기타 수입)

개막작품 : <리틀부다>(베르나르도 베르툴루치)

프로그램 :

1)공식 경쟁 부문

2)영포름 : 신인 감독과 젊은 세대들의 작품 소개 유명 감독을 상다수가 초기 시정 영포름에 작품 출품(영화제 집행위와 분리된 별도의 조직운영)

3)파노라마 부문

4)Kinder Film Fest : 어린이용 영화(경쟁 부문)

5)회고전 : 소피아 로렌전

6)견본시 : 시네 센터에 개설

 

비엔날레 영화제(31)

개최시기 : 1993101526

개최지 : 오스트리아 비엔나

성격 : 비경쟁(FIAPF 공인)

창설연도 : 1959

행사책임자 : 볼프강 에인버거, 알렉산더 호르위스

참가자 선정: 150여 작품 중에서 주요 부문에 70편 선정

개막상영작 : <피아노>,단편영화<소녀 자신의 이야기><정열없는 순간><Peel>

프로그램 : 감독주간 <Bedlands><천국의 나날> 시사

 

산 세바스챤 영화제(스페인)

개최시기 : 9월 중순

창설 : 1953

구분 : 경쟁 영화제(FIAPF 공인)

집행위원장 : Pilar Olascoaga

프로그램 : 국제 경쟁 부문, 새로운 스페인 영화 신인 감독을 대상으로 하는 Zabaltegi 부문 : 최우수 작품에 5만 달러의 상금 지급

 

살레르노 영화제(46)

개최시기 : 199310616

개최지 : 이탈리아 살레르노

프로그램(부문):극영호, 비극영화,‘영화와사회등의 주제로 세미나와 심포지움 개최

특징 : 비상업적 영화제

참가규모 : 예심 200여편 , 본심 18

 

상하이 국제 영화제(1)

개최시기 :199310714(격년제)

구분 : 경쟁

주최 : 상하이 시

주관 : 상하이 국제 영화제 조직위원회

지원 : 25개 지역 기업체로붜 약 1천만원(한화 10억원)을 지원받음

개막 상영작 : <찰리 채플린>(리차드 아텐보로)

본전진출작 : 19

 

선댄스 영화제(16)

개최시기 : 199412030

개최지 : 미국 유타주

성격 : 경쟁

출품대상 : 극영호, 다큐멘터리 영화

주관 : 선댄스 재단(로버트 레드포드가 만듬)

특징 :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비헐리우드적인 작품들이 상당수 참가, 경쟁부문의 수상작들은 미국내의 배급과 상업적인 성공을 보장받음. 독립 영화 제작자 및 작가들의 진출장

 

시카고 영화제(미국)

개최시기 : 10월 중순

창설 : 1964

구분 : 경쟁(FIAPF 공인)

집행위원장 : Micheal Kutza

특징 : 예술 영화를 중심으로 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있는 영화제. 미국 영화 제작자나 배우들에게 공로상을 수여함(제인 러셀, 베티 데이비스, 오손 웰즈, 알란 파커 등)

싱가포르 영화제(7)

개최시기 : 199441530

개최지 : 싱가포르

참가대상 : 일반 영화 및 비디오

성격 : 경쟁, 비경쟁(FIAPF 공인) : 국내 영화제에서 국제 영화제로 전화

프로그램 :

1)경쟁 부문(아시아 영화)

2)어린이청소년 부문

3)초청작 시사

 

아시아태평양 영화제(38)

개최시기 : 19939710

개최지 : 일본 후쿠오카(태 연맹 이사회에서 차기 영화제 개최지 선정)

성격 : 경쟁

주관 : 아시아 태평양 영화 제작자 연맹(영화제가 개최되는 주최국 영화 제작자 협회장이 자동적으로 아태 영퐈 제작 연맹 회장의 의무와 권리를 지님)

창설 : 1954(한국은 제4회부터 영화출품)

설립목적 : 태 지역내 각연맹 회원국간 영화 산업의 공동 이익을 증진하고, 영화의 기술 및 예술적 향상과 영화를 통한 문화 교류 촉진

참가대상국 : 서울, 도쿄, 홍콩, 싱가포르, 방콩, 타이베이, 자카르타, 콸람룸프르, 쿠웨이트, 봄베이, 시드니, 웰링턴, 마닐라 등 13개국(영화제 규약상 국가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각국의 수도 및 도시 명칭으로 호칭)

참가규모 : 48228명의 대표단

 

아카데미상(66)

개최일시 : 1994322

 

아마가타 국제 기록 영화제(5)

개최시기 : 199310511

개최장소 : 일본 야마가타 현

특징 : 아시아권의 기록 영화 발굴에 힘씀

심사 : 참가작중 15편을 1차로 선정, 본선 심사는 영화 작가와 비평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7)이 진행, 대상 1, 금상 1, 금상 1, 장려상 2, 특별상 1

규정 :

1)기록 영화에 한함

2)16밀리. 35밀리에 한함

3)야마가타에서 상영되기 전에 대중적으호 상영되지 않은 작품

4)단편영화는 포함되지 않음

5)제작 날짜에 제한이 있음

 

예테보리 국제 여화제(16)

개최시기 : 19932514

개최지 : 스웨텐의 예테보리

성격 : 비경쟁

창설 : 1978

집행위원장 : Gunar Carlson

창설목적 : 전세계의 훌륭한 영화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 소개 반응이 좋은 영화는 이지역에 배급

프로그램 특색 :

1)감독과의 대화 : 메인 극장 옆의 작은 술집에서 진행, TV방영

2)장편 영화 상영에 앞서 단편 영화 한 편을 상영

 

오버하우젠 영화제(39)

개최시기 : 19934월 말

장소 : 독일 오버하우젠

참가대상 : 단편, 다큐멘터리

성격 : 경쟁(FIAPF 공인)

창설 : 1954(힐마 포프만)

집행위원장 : 알겔라 하르트

특징 : 세계 단편 영화의 메카, 순수한 단편 영화제, 1960년대 초 미국의 뉴아메리칸 시네마가 소개되면서 독일 아방가르드 작가들에게 영향을 줌. 1962년 제9회 영화제기간중 낡은 영화는 죽었다. 우리는 새로운 영화를 믿는다.”오바하우겐 선언발표

프로그램 :

1)경쟁 부문

2)독일 단편 주간

3)비디오 프로그램

 

이스탄불 영화제(13)

개최시기 : 19943월 말

개최지 : 터키 이스탄불

출품대상 : 일반 극영화

성격 : 경쟁(FIAPF 공인)

주관 : 이스탄불 문화 예술 재단(정부와 민간 기업 공동 출자)

창설 : 1982(영화제 첫회에는 연극 무용을 포함한 종합 예술 행사, 1984년부터 독립된 영화제 실시)

취지 : 터키 영화에 활력을 불어 넣고, 미국 영화가 영화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영화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함

특징 : 국제 영화제와 국내 영화제 동시 진행(별도의 심사위원회), 중앙 아시아 지역의 영화를 중심으로 동서 유럽의 영화들이 주로 출품

 

지오반니 국제 영화제(11)(토리노 영화제)

개최일자 : 1993111320

개최지 : 이탈리아 토리노(이탈리아 영화 산업의 중심지이며, 국립 영화 박물관이 있다.)

성격 : 비경쟁

창설자 : 잔니 론도리노

창설 : 1984

창설취지 : 국내외 젊은 감독들의 독립 제작 영화와 순수 아마추어 영화, 비디오 작품을 정기적으로 소개

집행위원장 : 알베르토 바베라

참가규모 : 34개국 270(외국 영화는 90)

개최부문 : 경쟁 부문(극영화, 단편영화,이탈리아 영화)

프로그램 :

1)경쟁부문

2)컬트영화

3)미드나잇영화

4)특별부문(새감독 발굴을 위한신임감독영화주간’)

5)심포지움(주제-영화의 백년 : 영화와 비평)영화제 경비 삭감으로 회고전 대신 희귀성이 높은 무성 영화들을 특별 프로그램으로 상영/영화제 경비 : 총 운영비는 약 10억 리라(70만 달러),토리노 시 50퍼센트, 중앙과 지방 정부 15퍼센트씩, 나머지 20퍼센트는 영화제 우호 단체개인의 지원, 그리고 입장료 수입으로 충당

 

지포니 아동 영화제

개최기 : 1992(22)의 경우 818

개최지 : 이탈리아 지포니 발레 피아노

참가대상 :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영화

창설 : 1973, 클라우디오 굿기토시, 마리오 페라라, 프랑코 레가 등이 창설

집행위원장 : 카틀로 안드레아

심사위원 구성 : 이탈리아 전역에서 초청한 어린이 150

특징 :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어린이들은 일정한 나이가 되면 영화제 조직원으로 참여

 

카를로비 바리 영화제(28)

개최시기 : 19927월 중순(모스크바 영화제와 격년으로 진행)

개최지 : 체코 카를로비 바리

성격 : 경쟁(FIAPF 공인)

창설 : 1963

성립목적 : 서구 중심의 영화제를 벗어나 자신들의 관점에서 국제 영화제를 치루고자함

집행위원장 : Frantisek Marvan

특징 : 동구권 영화와 제3세계 영화를 중심으로 함. 1990년 이전까지는 북한 영화에만 개방. 모스크바 영화제와 함께 사회주의권의 대표적인 영화제

프로그램 :

1)경쟁

2)신인경쟁

3)소개전

4)마켓

 

카이로 영화제(16)

개최시기 : 매년 12

개최지 : 이집트

성격 : 복합(FIAPF 공인)

창설 : 1976(경쟁으로 출발했다가 5년뒤 비경쟁으로,1991년에 다시 경쟁으로 전환)

창설자는 카말엘말라카(시나리오 작가, 비평가)

집행위원장 : 사드 엘 딘 와하바(아랍 예술가 연맹 회장)

특징 : 중동 지역 영화의 전시장, 필름 마켓을 통해 중동 지역의 영화가 거래됨

개최장소 : 메인 극장은 인터네셔널 컨퍼런스 센터. 비경쟁 부문 참가작은 메인호텔 내의 시사실에서 상영

전망 : 정부 지원의 확대에 힘입어 중동 지역의 대표적인 영화제로 자리잡게 될 것

 

캘커타 영화제(인도)

개최시기 : 1월 중순

구분 : 경쟁(FIAPF 공인)

주요부문 : 인도 영화 파노라마, 축제 중의 축제

개최장소 : 격년으로 델리에서 열리고 중간해에는 하이데라바드, 트리반드럼, 봄베이, 마드라드, 캘커타 등으로 장소를 옮겨가며 열림

집행위원장 : Umilla Gupta

주관 : 국립 영화 진흥 공사

특징 : 영화는 장차 인도에서 상열될 것을 기준으로 선정된다.

 

토론토 국제 영화제(18)

개최시기 : 19939월 초순

개최지 : 캐나다 토론토

성격 : 비경쟁

출품대상 : 주요 영화제에서 호평받은 작품과 북미 지역 영화

창설연도 : 1976

주관 : 캐나다 국립 영화원(NFBC)

특징 : 세계 각국의 영화업자들이 자신들의 작품을 상업적으로 개봉하기 전에 미리 마케팅 조사를 행하는 장소로 이용, 헐리우드 대부분의 스튜디오와 독립 영화 배급사들에게 인기있는 영화제

참가규모 : 46개국 299편 출품

개막상영작 : <M.버터플라이>(데이빗 크로넨버그)

폐막상영작 : <Rudy>

프로그램 :

1)시사회

2)특별시사회

3)캐나다 영화 주간

4)Midnight Madness

5)Red Spiels

6)심포지움

 

프리보그 영화제(7)

개최시기 : 199311723

개최장소 : 스위스 프리보그

성격 : 비경쟁

특징 :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영화의 발굴, 개발에 힘씀, 경쟁 부문을 통과한 수상작은 스위스에 배급되는 대가로 해당 배급업자에게 1만 불을 지급한다.

프로그램 :

1)경쟁부문(극영화,단편,기록영화)

2)회고전 : 사타짓트 레이 회고전

3)이장호 감독 주간

 

프리시네마 국제 영화제(24)

개최시기 : 매년 11

개최지 : 이탈리아 볼로냐

성격 : 비경쟁

설립목적 : 이탈리아 영화기구(IFI)의 보수적 편견에 대항하여 좌익 성향의 영화인 지원

창설 : 1960

특징 : 오래 전 상영 금지되었거나 해금 조치된 영화 상영

지원 : 이태리 정부, 볼로냐 시

 

하바나 영화제(쿠바)

개최시기 : 12

창설 : 1978

구분 : 경쟁(FIAPF 공인)

부문 : 뉴 라틴 아메리카 필름. TV와 비디오용 프로그램

집행위원장 : Pastor Vega

 

하와이 영화제(13)

개회시기 : 1993

개최지 : 미국 하와이

참가대상 : 일반 극영화, 단편 영화, 기록 영화, 애니메이션

성격 : 비경쟁(FIAPF 공인)‘동서센터상은 엄격한 심사와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선정

참가규모 : 160(미국 작품 44)

주관 : 동서 문화 재단(학문, 예술 각 부냥의 국제 교류 중진에 이바지해 온 귄위와 전통의 재단)

후원 : 아시아 문화 협회, 아시아나 항공, 방송공사, 코닥사, 하와이 주정부, 산업 경제 및 관광 개발 공사, NAATA(National Asian American Telecommunications Association), Northen Telecom, Oceanic Cable. 주미 한인 단체)

특징 : 자국의 독특한 문화를 묘사했거나 관객에게 신선하고 미학적인 감동을 제공할 수 있는 아시아 및 태평양 국가의 감독, 작품에게 상을 수여

프로그램 :

1)공식 경쟁 부문

2)특별 회고전 : 오즈 야스지로전(5편소개)

3)테주카(일본 애니메이션 작가) 회고전

4)몽고 영화 주간(환경문제, 진정한 가족의 모습을 다룬 작품, 토착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품 등)

5)미국 독립 영화 작가들의 작품 소개

6)IMAX국제 영화제 : 한국의 <동양의 춤>(배석인)참가

7)NETPAC(Network for the Promotion of Asia Cinema)개최 : 한국, 주국, 일본, 영국, 홍콩, 필리핀, 베트남 등 20개국, 160여 명 참가, 아시아 태평양 영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신설하기로 결정

 

홍콩 국제 영화제(18)

개최시기 : 199432549

참가대상 : 극영화, 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

성격 : 비경쟁(FIAPF 공인)

창설연도 : 1978

참가규모 : 1993년에 세계에서 만들어진 60

개막상영작 : <3가지 색-블루>(크지쉬토프 키에슬롭스키)

폐막상영작 : <3가지 색-화이트>

특별선정 프로그램 : <키카>(페드로 알모도바르)

프로그램 :

1)독립 단편 영화제(경쟁)

2)이란 영화 특집

3)레니 리펜슈탈 특집

4)세계의 대표작들 : 장 뤽 고다르, 빔 벤더스, 두상 마카비에프, 데릭 저먼 등 세계 유수 감독 작품 상영

5)아시아 영화의 새로운 움직인 : 한국, 일본, 중국, 이스라엘, 카자흐스탄 영화 소개,<서편제><화엄경><첫사랑>초청

* 위 영화제 정보는 1993,1994년을 기준으로 함

 

5. 나오는 말

 

47(1994) 깐느 영화제에서 신상옥 감독은 심사위원으로 참가하였고 그의<증발>은 필름 서프라이즈 코너에서 소개되었고 영화 평론가 임안자 씨는 카메라 도르부문의 심사위원으로 참가하였다.

1993년 낭뜨 영화제에서 <서편제>는 비경쟁 부문에 시사되었다.

199447회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그 섬에 가고 싶다>가 본선에 진출했고 199318회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살어리랏다>의 이덕화는 최우수 남우 주연상을 수상했다.또한 199444회 베를린 영화제에서 <서편제>는 파노라마 부분에 초대되었고 199346회 살레르노 영화제에서 <한 줌의 시간 속으로>(백일성 감독)는 작품상을 수상했다. 199238회 오버하우젠 영화제에서 <호모 비디오쿠스>는 경쟁 부문에 참가했고 199418회 홍콩 국제 영화제에서 아시아 영화의 새로운 움직임 속에 한국의<서편제>,<화엄경>,<첫사랑>이 초청되는 등 한국 영화는 분발하고 있다.

한국영화의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 의식있는 감독과 훌륭한 제작자와 만남, 충분한 작품 설명 등으로 한국 영화가 세계 무대에서 떳떳이 설 수 있도록 제도적인 많은 지원책과 영화 평론가들의 끊임 없는 조언이 있어야 겠다.

 

참고문헌

1. 베르리날레, 볼프강 야콥센, 아르곤출판사,베를린,1990

2. 시네마야, 라케시다얄, 인도 캘커타, 198990년 겨울호

3. 대종상 영화제백서, 대종상 영화제 사무국, 예건사, 1994

4. Movie/TV Marketing,19949월호

5. 한국영화연감, 영화진흥공사, 19771994

6. 동아일보, 94121일자

7. 조선일보, 94111일자

8. 조선일보, 94128일자

9. 중앙일보, 941217일자

10. 한겨례신문, 941216일자

11. 서울 히트라인 94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