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이 성과를 낸다 |
두뇌회전이 빠르다는 건 연구자에게 오히려 마이너스다. 일본에는 ‘수재병’이란 말도 있다. 수재는 중요한 논문을 금방 이해하고 그걸 발전시키기 때문에 빛이 난다. 하지만 진정한 연구는 그 너머에 존재한다. 난제에 부딪히면 수재는 ‘어렵네’하고 그 옆을 돌아본다. 그랬다가 ‘어, 이건 내가 할 수 있겠네’ 하면서 옆길로 새고, 또 어려운데 부딪히면 다시 옆길로 샌다. 그런 사람은 대학원생 까지는 활약하지만 조교수급이 되면 점점 사라진다. 조교수 때 가서 잘하는 이는 조금 느리다 싶은 그런 사람이었다. 꾸준히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이 좋은 연구자로 발전했다. 노벨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토산업대 교수의 강연내용을 중앙일보에서 옮겨왔습니다. 천재성은 누구나 가질 수 없지만, 인내심은 누구나 가질 수 있습니다. |
'실천하면 좋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들은 리더가 기대하는 만큼 한다 (0) | 2009.09.15 |
---|---|
타인으로부터 진심어린 존경을 받는 방법 (0) | 2009.09.14 |
미안합니다 (0) | 2009.09.11 |
행동이 아이디어를 결과로 만들어준다 (0) | 2009.09.07 |
배우는 자의 3가지 병통 (0) | 200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