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소설의 개념
: 현실에서 있음직한 일을 바탕으로 작가가 상상하여 꾸며낸 이야기. 독자에게 감동을 주 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는 산문문학의 대표적 갈래.
2. 소설의 특징
(1) 허구성(Fiction) : 소설은 실재의 삶에서 소재를 취하지만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을 바탕으로 하여 있음직한 일을 꾸며서 쓰는 것이다.
(2) 진실성 : 소설은 허구의 세계를 그리지만, 궁극적으로는 인생의 진실과 참모습을 추구하여 인 생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
(3) 산문성 : 주로 서술, 대화, 묘사에 의하여 기술되며 산문으로 기록된 대표적인 문학이다.
(4) 서사성 : 소설은 인물, 사건, 배경 등을 갖추어 일정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전개 함.
(5). 예술성 : 형식미와 예술미를 갖추어야 한다.
3 . 소설의 인물
(1) 인물의 유형
1) 주 동 인 물 : 작품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 ('춘향', '이도령')
반 동 인 물 : 주동 인물과 갈등, 대립하는 인물 ('변사또')
2) 주 요 인 물 : 주인공, 또는 그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 ('춘향', '이도령')
주 변 인 물 : 이야기의 진행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는 인물 ('향단', '방자')
3) 전형적 인물 : 한 시대나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 ('심청'은 효녀를 대표한다.)
개성적 인물 : 한 개인만의 독특한 성격을 지닌 인물
4) 평면적 인물 : 작품 속에서 성격이 변하지 않는 인물 ('흥부')
입체적 인물 : 환경이나 사건의 진행에 따라 성격이 변하는 인물
(2) 인물의 성격(심리) 제시 방법
1) 직접적 제시(말해주기) :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를 직접 설명해(말해) 주는 방법.
분석적 방제시, 요약적 제시라고도 함(1인칭주인공,전지적작가 시점)
2) 간접적 제시(보여주기) : 등장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를 대화나, 행동, 외양 등을 보여줌으로써 제시하는 방법. 극적 제시, 장면 제시라고도 함.(관찰자 시점)
예) 이대롱은 마음씨가 좋았다.→직접적 제시
이대롱은 까치집을 뒤져 까치 새끼도 내려 주고, 박달 나무로 팽이도 다듬어주었다.→간접적 제시
3) 평면적 방법 : 인물의 성격이 변하지 않는 전형적인 인물을 제시한다. 해학이나 풍자의 수단 으로 적합하다.
4) 입체적 방법 : 변화와 발전이 있는 개성적 인물을 제시한다. 현대 심리 소설에 적용되고 있다.
(3) 인물의 갈등
1) 내적 갈등 : 한 인물에게 일어나는 둘 이상의 마음이 갈등하는 것.
심리적 갈등. 양심↔비양심, 사랑↔증오, 선의(善意)↔악의(惡意)의 갈등
2) 외적 갈등 : 적대자나 반동 세력과의 갈등.
① 개인과 개인 사이의 갈등(소설 속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긍정적 인물과 그에 반대하는 부정 적 인물 사이의 갈등)
② 개인과 사회 사이의 갈등(개인이 살아가면서 겪는 사회 윤리나 제도와의 갈등)
③ 개인과 운명의 갈등(개인의 삶이 어쩔 수 없는 운명에 의해 좌우되는 데에서 오는 갈등
-김동리의 '역마').
(4) 인물의 묘사
1) 외양 묘사 : 성격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인물의 겉모습이나 심리를 묘사한다.
2) 심리 묘사 : 인물의 심리, 내면의 모습을 묘사한다. 심리 묘사는 복잡한 인상을 준다.
4 . 소설의 시점
(1) 시점 : 소설 속의 인물이 성격이나 행위 등을 누구의 눈으로,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야기 하는가를 소설의 시점이라고 한다.
(2) 시점의 종류-
*1인칭 주인공 시점;서술자인 '나'가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함. 심리묘사가 가능함. 주관적.
*1인칭 관찰자 시점;서술자인 '나'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서술함. 행동묘사는 가능하나 심리묘사 를 할 수 없음. 비교적 객관적.
*3인칭 관찰자 시점;작가가 제3자의 이야기를 서술함. 행동묘사는 가능하나 심리묘사는 불가함.
가장 객관적인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서술자가 하느님과 같이 전지전능한 위치에서 인물의 행동과 심리를 묘사함. 고대소설은 대부분이 전지적 작가 시점임.
: 간접적 제시(보여주기 ; showing)
: 직접적 제시(말해주기 ; telling)
인물
주인공 인물
=서술자 =서술자
주인공=서술자=작중인물 부수적 인물=서술자=작중인물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인물 인물
서술자 서술자
주인공 주인공
서술자=작품 밖의 인물 서술자=작품 밖의 인물
<3인칭 작가 관찰자 시점>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 ① 거리의 개념 : 작가(서술자)와 독자, 작가(서술자)와 작중 인물, 작중 인물과 독자 사이의 거리 및 독자와 작품 사이의 심적(心的)·미적(美的) 거리
② 거리의 정도 : '서술자-대상-독자'의 관계에서 대상을 중심으로 볼 때, 1인칭 주인공 시점 은 '서술자=주인공'이므로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가 거의 없고, 3인칭 관찰자 시점은 가장 멀다. 반면 독자의 입장에서는 대상과 독자의 거리가 1인칭 주인공 시점이 가장 멀고, 3인칭 관찰자 시점이 가장 가깝게 느껴진다.
(3) 시점의 분류 기준
1) 서술자의 위치 : 서술자가 등장 인물이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2) 서술자의 태도 :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 속에 들어가 있느냐, 아니면 바깥에서 관찰만 하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5. 소설의 배경
: 배경(背景)이란 행위나 사건이 일어난 시간과 장소를 가리킨다. 소설에서 배경은 인물과 사건을 보다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작품의 의미나 주제와 깊이 관련되며 독자에게는 신뢰감을 준다. 또한 인물의 심리와 사선의 전개에 대하여 암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함.
(1) 배경의 종류
1) 자연적 배경 : 시간·공간적 배경. 등장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드러내거나, 공간적 자연 상태를 말함.
2) 사회적 배경 : 시대적 상황, 역사적 흐름. 예)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
3) 사상적 배경 : 작품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사상(思想).
6 . 소설의 구성
(1) 소설 구성의 3요소
1) 인물(人物) : 소설에 등장하는 사람. '성격'이라고도 한다.
2) 사건(事件) : 등장 인물들의 벌이는 행동('갈등'에 의한 전개)
3) 배경(背景) : 사건이 벌어지는 때와 장소
(2) 소설의 구성 단계
1) 발단 : 인물과 배경이 소개되고 사건의 실마리, 사건의 방향에 대한 암시가 제시되는 부분
2) 전개 : 사건이 점차 발전하는 단계, 갈등(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 사이의)이 드러남
3) 위기 : 긴장감과 갈등이 깊어지고(갈등의 고조) , 절정에 이르는 계기를 마련해 줌
4) 절정 : 긴장과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성격과 주제가 제시되는 부분
5) 결말 : 갈등이 해소되고, 사건이 해결되는 부분
(3) 구성의 유형
1) 이야기의 수에 따라
① 단일 구성 - 하나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만으로 전개. 주로 단편 소설에 쓰임.
② 복합 구성 - 두 개 이상의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복잡하게 얽혀 전개. 장편 소설
③ 피카레스크식 구성 - 서로 다른 각각의 이야기들이 동일한 주제 아래 통일되어 엮어져 전 개되는 구성이다. 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직선적 구성-사건들이 밀접한 관련성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선명하게 연결된 구성임.
2) 사건의 진행에 따라
① 평면적 구성 -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구성. '과거-현재-미래'
② 입체적 구성 - 사건이 시간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지 않고 '현재-과거-미래'.
또는 '과거-미래-현재' 등으로 전개되는 구성으로 현대 소설, 특히 심리 소설에 많이 나타남.
7. 소설의 복선(複線)
앞으로 일어 날 사건이 우발적 돌발적 사건이 아님을 보여 주고, 그 사건에 필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미리 그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장치이다.
8.. 소설의 문체
: 말이 어떠한 개성적 특성을 보이며, 어떻게 조직되고, 일정한 질서를 이루고 있는가의 표현 방 식을 일컫는 말이다. 문체는 작가의 개성의 표현이다.
(1) 문체의 요소
① 서술 - 설명하는 문장. 인물,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해설적이고 추상적이며 요약적임.
② 묘사 - 작가가 객관적인 위치에서 인물, 배경, 장면 등을 구체적으로 그려냄.
③ 대화 - 등장 인물의 말로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묘사하는 기능을 지닌다.
(2) 작가와 문체 : 문체는 작가의 개성의 표현이다. 작가는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문체를 사용한다.
9. 소설의 갈래
(1) 분량에 따라
① 장편(掌篇) 소설 - 꽁트라고 하며, 매우 간단한 것을 함축성 있게 표현한다. 작가의 뛰어난 기교, 재치, 해학이 필요하다.
② 단편(短篇) 소설 - 원고지 100매 내외의 것으로 인생을 단면을 그리므로 주제, 구성, 문체가 단일하여 통일된 인상을 준다.
③ 중편(中篇) 소설 - 200∼500매 정도로 단편과 장편의 중간적인 특징을 지닌다. 주제나 구성 적인 측면에서는 장편에 가깝다.
④ 장편(長篇) 소설 - 1000매 이상이며, 사회의 총체적이고 전체적인 모습을 그린다. 따라서 주 제, 구성, 문체가 복합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지닌다.
(2) 작가의 의도에 따라
① 순수 소설(본격 소설) - 예술성을 추구하는 작품으로, 예술적 아름다움이나 문학적 가치 외 의 어떤 목적도 거부하는 소설이다.
② 목적 소설 - 작품의 효용성(效用性), 즉 독자에게 어떠한 교훈이나 도움을 주느냐를 최우선 의 목적으로 삼는 소설이다.
③ 대중 소설(통속 소설) - 독자에게 흥미나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문학적 가치나 예술적 아름다움은 무시되는 소설이다. 이런 작품의 대부분은 남녀의 사랑 을 제재로 한, 질이 낮은 작품들이 많다.
(3) 인물의 묘사 방식에 따라
① 성격 소설 - 인물의 성격 묘사를 위주로 한 소설이다.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 그리고 외부 관계를 중시한다.
② 심리 소설 - 인물의 내면 의식의 흐름을 주로 묘사하는 소설이다. 예) 이상의 '날개'
(4) 작품이 쓰여진 시대에 따라
① 고대 소설 - 개화기 이전에 쓰여진 소설을 말한다. 예) '심청전', '춘향전', '구운몽' 등
※ 최초의 소설;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神話)' - 한문 소설
최초의 한글 소설; 허균의 '홍길동전(洪吉童傳)'
② 신소설 - 개화기 이후부터 이광수의 '무정(1917)'이 쓰여지기 전까지의 소설을 말하며, 언문 일치에 가까운 문장으로 자유 연애, 신교육, 미신 타파 등의 계몽적 내용을 담고 있다.
예) 이인직의 '혈의 누' - 최초의 신소설, 이해조의 '자유종' 등
③ 현대 소설 - 이광수의 '무정' 이후부터 쓰여진 소설로서 언문 일치의 문장으로 쓰여졌으며, 내용과 형식 면에서 매우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