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삭대엽 '언약이' | [그린경제=임홍순 문화비평가] 한국 시가인정가협회의 2013 ‘가곡사랑 1004후원자’ 송년음악회가 구랍 31일(화) 오후 7시 30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열렸다. 한국 시가인정가협회는 우리 노래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12년에 결성된 정가 전문공연 예술단체로, 이날의 공연은 가곡을 사랑하고 협회의 취지를 지원하는 순수 후원자들을 위한 송년 잔치로 기획되었다.
가곡(歌曲)은 판소리, 범패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성악곡이다.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 시조 가집에 담겨진 시조 시를 노랫말로 삼고 관현 반주를 갖춰 완성된 1000년을 이어온 ‘정악의 노래’로서, 학문과 여유를 즐기고 정신문화를 사랑하는 풍류음악이다. 동시에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및 구전 걸작품으로 등재된 바 있는 세계인의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
 |
|
▲ 남창 이동규 |
|
 |
|
▲ 무예춤 신미경 | 공연은 1부 <가곡>과 2부 <풍류>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는 전통 가곡으로, 남창, 여창 5곡과 남녀병창인 태평가를 포함 6곡이 연주되었다. 연주곡은 남창 우조 다스름 초삭대엽 ‘동창이’, 여창 계면조 다스름 이삭대엽 ‘언약이’, 남창 언롱 ‘이태백이’, 여창 환계락 ‘앞내나’, 남창 언편 ‘한송정’, 남녀병창 태평가 ‘이려도’ 순으로 연주되었다. 2부는 창작곡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는데, 대금과 25현 가야금중주 ‘화운’, 판소리 흥보가 중 ‘돈타령’, ‘무예’ 춤, 창작가악 ‘독도가곡’, ‘가곡 아리랑’의 순으로 연주되었다.
연주는 1부: 남창 가곡의 최고 명인인 우봉 이동규 가인(歌人)을 시작으로, 강숙현 풍류단 시가인 대표, 박문규 한국 정가⦁악 연구원장, 정마리, 이성순 가인, 홍창남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박영기 경기도립국악단 지도위원 등이 노래하였으며, 2부: 대금 연주와 25현 가야금 연주에 이건석 단국대 국악과 교수와 김호정 명인, 판소리에 김성현, 김성욱 형제, 검무에 신미경 예술단 ‘결’ 단장 등이 열연하였다.
|
 |
|
▲ 여창 강숙현 |
|
 |
|
▲ 해금 윤문숙 | 반주는 가야금 및 25현가야금: 송인길 전 국립국악원 정악단 예술감독, 김호정 명인, 해금: 윤문숙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황수진 경기도립국악단 단원, 대금: 김상준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이희단, 이건석 명인, 피리: 박영기, 송미란, 명인, 장구와 타악: 이영선 충남국악관현악단 부수석, 박거현 국립국악원 정악단 수석, 거문고: 이오규 용인대 국악과 교수, 김정은 충남국악관현악단 수석 등이 연주하였다.
2부 연주의 창작 가악 등은 시대와 조화하는 전통의 미래화 가능성을 표현하였는데, 특히 가곡 선율에 얹어 검무를 시연한 ‘무예’ 춤은 문무(文武)를 넘어서서 완성된 인격을 추구하는 우리 국악의 예술혼을 잘 드러내 보여주었다.
/임홍순 문화비평가(서경대 교수, 한국전통무예진흥학회 회장) |